이재명 ‘지사직 사퇴 불가’ 이유로 김두관 거론한 이유는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 이재명 경기지사가 15일 전남 여수시 이순신공원 항일독립운동기념탑을 찾았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의 지사직 유지를 둘러싼 논쟁에서 같은 당 경선 후보인 김두관 의원의 2012년 경남지사직 사퇴가 회자되고 있다. 당시 김 지사는 재임 2년 차에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에 참여하기 위해 지사직을 던졌다가 지지층과 도민들로부터 오랫동안 비판받았다.

‘반면교사’ 할 사퇴 사례로 제시
상황 달라 비교 어려운 측면도
홍준표 등 직 유지 사례도 다수

이 지사는 얼마 전 <부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 의원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거론하면서 “경선 완주와 도지사직 유지 둘 중 하나를 굳이 선택하라고 요구하면 도지사직을 사수하겠다”고 강수를 둔 바 있다. 이 지사로서는 지사직 유지의 명분으로 충분히 거론할 만한 사례지만, 두 사안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시각도 있다. 김 의원의 경우 당시 경남 야권이 김 의원을 단일 후보로 밀어 3당 합당 이후 처음으로 경남지사직을 차지했다는 정치적 상징성이 컸던 데다, 김 의원의 공백을 메울 대안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었다는 점에서 지지층의 비판 여론이 거셌다. 실제 그해 보궐선거에서 홍준표 경남지사가 당선돼 다시 보수 여당으로 경남 권력이 넘어가면서 김 의원의 악수(惡手)는 더욱 도드라졌다. 이는 여권 주자 중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고, 지금 사퇴한다고 해도 도지사 보선이 발생할 가능성도 거의 없는 이 지사의 상황과는 여러모로 다른 측면이 있다.

그러나 김 의원의 도지사 사퇴 역풍 이후 대선에 도전하는 광역단체장들 사이에서 지사직 중도 사퇴는 금기처럼 인식돼 온 것도 사실이다. 2017년 19대 대선 땐 홍준표 경남지사, 안희정 충남지사 등 6명의 지방자치단체장이 모두 경선이 끝날 때까지 자리를 유지했다. 당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홍 지사는 ‘보궐선거를 유발하지 않겠다’며 공직자 사퇴시한 3분 전까지 지사직을 붙들고 있어 상당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지사직 사퇴 또는 유지의 정당성을 한 가지 사례로 재단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전창훈 기자 jc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