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나온 백신으론 ‘오미크론 변이’ 막기 어렵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미국 연구진이 지금까지 나온 백신으로는 오미크론 변이를 막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우려가 냉엄한 현실이라는 걸 보여주는 연구 결과다.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의 데이비드 호 의학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3일(현지 시간)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오미크론 변이가 지금까지 개발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나 자연 감염으로 생기는 면역 방어를 광범위하게 회피한다는 게 요지다.

미 컬럼비아대 의학교수팀 연구 결과
“오미크론, 면역 방어 폭넓게 회피”

연구팀은 우선 백신 접종으로 생기는 항체가 오미크론 변이를 어느 정도 중화하는지 시험했다. 대상은 가장 많이 쓰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드존슨 등의 백신 4종으로 제한했다. 실험 결과 2차 접종을 마친 경우에도 오미크론을 중화하는 항체 효능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회복 환자에게서 분리한 항체의 경우 오미크론 중화 능력이 백신 항체보다 더 떨어졌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용 항체들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작용하는데, 오미크론 변이의 특징이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부쩍 늘었다는 것이어서, 백신 효과는 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는 바람에 흔들리는 표적을 향해 화살을 쏘는 것과 유사하다.

컬럼비아 의대의 아론 다이아몬드 에이즈(AIDS) 연구 센터 소장인 호 교수는 “감염됐다가 회복한 사람이나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도 여전히 오미크론 감염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걸 시사한다”며 “3차 부스터 샷을 맞으면 얼마간 면역이 강해지겠지만 오미크론을 방어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결과는 앞서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진행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백신 효능 테스트 결과와도 대체로 부합한다.

현재 사용 중인 코로나19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치료제도 오미크론을 막기에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오미크론이 지금까지 본 코로나 변이 가운데 가장 완벽하게 중화 항체를 회피하는 바이러스라는 결론을 내렸다.

호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떻게 진화할지를 예측해 이에 맞는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에는 아직 백신 접종을 한번도 하지 않은 3900만 명의 성인이 있지만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오히려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의 생각에 확신을 주고 있다고 미 뉴욕타임즈는 분석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