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서비스 자원 풍부한 부산, 바이오헬스 육성 나서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대학에서 창업했고 이제 규모가 성장해 다른 곳으로 이전해야 하는데, 다른 공간은 많지만 바이오제약 분야 창업을 위한 공간이 없어서 부산 외 지역으로 나가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인제대 A교수)

“대구, 오송까지는 바라지 않고, 바이오제약 분야를 위한 공간 조성, 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생산시설 등 간단한 시설만이라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인제대 B교수)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보고서
바이오헬스 선도기업 부산 2곳뿐
수도권 생태계 대비 기반 취약
앵커기업 부재 따른 인력 유출도
산업 지원할 컨트롤타워 제안

부산에 의료서비스 자원이 풍부하지만 미래 유망산업 중 하나인 바이오헬스 분야의 산업 기반이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초고령 사회로 접어든 부산이 미래 먹거리를 위해서는 바이오헬스 분야를 선도적으로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은 7일 ‘부산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 보고서를 발간하고, 부산이 바이오헬스산업을 선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부산의 일반 바이오헬스 사업체는 모두 511개, 종사자는 4089명이다. 하지만 제조업 대부분이 정형외과용과 신체보정용 기기에 몰려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전국 바이오헬스 분야 100대 선도 기업 중 부산 기업은 단 2개에 불과하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인천, 대전은 바이오헬스 분야 대기업을 중심으로 바이오헬스 생태계를 잘 구축해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다. 이에 비해 부산은 선도 기업 2곳 말고는 바이오헬스 분야 생태계가 아직 골격조차 갖추지 못한 상태이다.

이 보고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집중 지원이 부족했고, 이에 따라 관련 고급 인력이 부산 외 지역으로 유출됐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부산에서는 매년 대학과 관련 학과에서 의료 인력과 연구개발 인력 등 3000여 명이 배출되는데, 부산 내 바이오헬스 앵커 기업이 없다보니 이들 인력이 역외에서 취업하고 있다는 것.

또 BISTEP에 따르면, 부산 의약품과 의료기기 임상시험 실시기관은 서울, 경기 다음으로 가장 많다. 하지만 부울경에는 동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의약품과 의료기기 비임상시험 실시기관은 없어 다른 지역의 인프라를 활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바이오제약 기업에게 매력이 떨어지는 도시라는 평가다.

정책적으로 살펴보더라도, 부산은 2010년대 중반까지 암, 항노화, 치의학을 중심으로 지원했고, 2010년대 후반부터는 인공지능 헬스케어 같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중심으로 지원했다. 상대적으로 바이오제약 분야에 대한 지원이 약했다.

BISTEP 미래산업정책팀 정윤정 팀장은 “부산은 바이오헬스 산업을 지원할 컨트롤 타워가 없다. BISTEP이나 경제진흥원, 테크노파크 내에 바이오헬스산업을 지원할 센터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면서 “또 서부산 스마트 헬스케어 클러스터와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단지를 잇는 벨트 내에 바이오헬스 산업단지와 센터 등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지난해 말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에 2조 463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