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성완 후보가 박형준 후보에게 묻다] “박 후보, 플로팅 공항 혼선 야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성공을 위해서는 가덕신공항이 2029년 개항해야 하는데, 국토부 사타(사전타당성조사)는 2035년 개항을 결론으로 내세웠다. 박형준 후보가 알면서도 가만히 있었다면 시장의 직무를 제대로 못 한 것이다. 박 후보가 2029년 개항을 위해 내세운 ‘플로팅 공항’은 국토부에서 신뢰성이 낮아 적용이 곤란하다고 했다. 플로팅 공항은 허황된 비전의 결정체로 가덕신공항 추진에 큰 혼선을 주게 될 것이 분명한데, 박 후보의 생각은.

“문재인 정부의 국토부에서 실시한 사타의 2035년 개항 중간용역보고 결과를 듣고 곧바로 적극적으로 국토부에 저희 의견을 개진했다. 또 국내 굴지의 건설기업, 연구원들과 함께 2030년 이전까지 개항할 수 있는 방안 두 개를 마련해 제시했다. 이후 인수위에서 원희룡 국토부장관이 패스트트랙에 올리겠다는 의견까지 이끌어 내는 큰 성과를 거뒀다. 사타 결과가 나오기 전에 그 내용을 미리 알았다고 해서 용역 결과를 바꾼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문재인 정부의 국토부가 그런 용역 결과를 낼 때까지 민주당과 문 전 대통령은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 플로팅 공법은 최근 정책 발표회에서 말씀드렸듯이 2029년까지 개항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일 뿐이다. 이를 두고 사업 추진에 큰 혼선을 주게 될 것이라는 지적은 어불성설이다. 오히려 문재인 정부가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한 그 책임을 정치공세용으로 뒤집어 제기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주민 협의 과정서 변화… 바른 방향   조기 개항 방안… 혼선은 어불성설
블록체인 사업 모두 탈락 이유?   →  전 정부 지나친 규제 장벽 때문
시민 안전이 최우선이다      ←  문 정부 탈원전 유턴에 대한 입장?

-올 4월 국내 최초의 특별지방자치단체인 ‘부산·울산·경남 특별연합(메가시티)’이 출범했지만,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 민주당 후보들과 달리 국민의힘 울산·경남 단체장 후보가 재검토 의견을 얘기하고 있다. 지난 TV토론 때에도 선거 과정에서 울산, 경남 단체장 후보들의 동의를 구해야 할 것이라고 했는데, 현재 어떻게 진행 중인가.

“울산·경남의 국민의힘 단체장 후보들이 메가시티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각 지역이 소외될 수 있는 부분들 때문에 우려한다. 중앙정부에서 35조 원 정도를 70개 사업에 지원하기로 약정돼 있는데, 각 지역이 욕심을 내기보다는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으로 메가시티를 추진해야 한다. 타 지역에서 우려하는 부분은 새로 선출된 지자체장들과 긴밀히 의논하고 협력해서 지역 혁신형 균형발전을 이뤄 내겠다. 타협과 합의로 메가시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차질 엇이 준비하겠다.”



-박 후보는 “글로벌 허브 도시 부산의 미래 중심축은 블록체인 산업”이라고까지 언급한 적이 있다. 그런데 경남·울산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지역혁신플랫폼 공모사업에 부산만 탈락했고, 올해 부산 블록체인 특구 신규사업 6개가 모조리 탈락했다. 이런 기회들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서 허황한 미래비전만을 제시하는 이유는.

“중소기업벤처부에 신청한 과제는 모두 6건으로, 3건은 사업자가 포기했다. 나머지 3건의 사업들이 선정되지 못한 것은 전 정부의 디지털 금융에 대한 지나친 규제 장벽 때문이었다. 제도 개선을 위해 인수위에 안전한 네거티브 규제특구를 건의, 이를 현 정부에서 받아들여 디지털자산기본법을 제정하고 규제자유특구 고도화를 국정과제로 선정하게 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또 부산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조성이 윤석열 정부의 실천과제로 채택됐다. 신규 과제의 탈락이라는 결과를 바탕으로 그 과정에서 드러난 지난 정부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노력했다.”



-원안위 이전 제안에 대한 입장과 최근 현안이 된 고리2호기의 수명 연장 문제, 올 4월 원전해체(원자력)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지정되어 박차를 가해야 할 원전해체 산업에 대한 후보의 입장은.

“고리2호기는 먼저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진단부터 철저히 진행해야 한다. 이후 사회적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 합리적인 정책 결정 과정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제안이다. 원전해체 산업에 대해서도 이미 부산시가 관심을 가지고 뛰어들었다.”

강희경 기자 him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