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발 늦은 부산문학관 건립 방향·입지·속도 다 챙겨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건립 기본계획 용역 착수 보고회

부산시는 지난 18일 부산시청에서 ‘부산문학관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착수 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보고회에는 부산시와 문학계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연구용역은 4개 업체 응모 결과, 플랜비문화예술 협동조합(대표 이승욱, 이하 플랜비)이 선정돼 맡았다. 용역 총괄책임자는 ‘플랜비’ 송교성 지식공유실장이다. 플랜비는 3단계로 용역을 추진하면서 6월 중 ‘부산문학관의 건립 방향’ ‘주요 사업과 프로그램’ ‘공간 구성 및 대상지’란 3개 주제에 대한 의견을 각각 수렴할 거라고 밝혔다. 방식은 3개 주제별로 매회 7~10명의 문인·전문가로 구성된 라운드테이블을 총 3차례 열면서 전문가·관계자 설문조사를 하겠다는 것이다. 연후 공개 포럼을 1회 개최해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다. 올해 부산문학관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5000만 원 예산으로 진행된다.

플랜비문화예술협동조합 용역
문인·전문가 3차례 간담회 예정
정체성 설정에 치열한 논의 필요
상징적 의미 큰 입지 선정 과제
느린 추진 탓에 용역 일정 촉박

이번 용역에서 도출해야 할 핵심 내용은 부산문학관의 성격과 입지다. 첫째 부산문학관의 성격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라는 것은 부산문학관의 위상과 정체성, 비전과 가치, 역할을 설정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다수 의견이었다. 이에 대해 박태일 시인은 “부산문학관의 성격을 6~7개월 사이에 3회의 라운드테이블만으로 설정하겠다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며 “연구세미나 등을 통해 여러 차례의 치열한 논의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기환 문화체육국장도 “부산문학관의 성격을 정립하는 것과 함께 어떤 기능을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것도 용역에서 논의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둘째 입지 문제는 아주 중요한 문제다. 플랜비는 보고서에서 “근대도시, 개항장, 원도심 등 대도시 부산의 역사 속에서 형성돼온 부산문학을 기억하고 도시와의 끊임없는 교류와 연결이 가능한 접근성 높은 부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부지와 관련해 부산시는 올 초부터 16개 구·군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해 신청이 들어온 9곳 중 6곳이 적합하다는 검토결과를 내놨다. 6곳은 해운대·강서·북·금정구 각 1곳과 사하구 2곳이며, 구체적으로 명장공원, EDC문화공원, 전(前) 꿈꾸는예술터, 만남의광장, 현대미술관 뒤, 다대포역사부지 등이다. 이 6곳 중 1곳을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용역에 반영해 입지타당성을 분석한다는 것이다.

입지와 관련해 “부산시가 다른 광역시·도에 비해 늦게 시작하는 만큼 독보적인 문학관을 지어야 한다”(정인 부산소설가협회장), “접근성이 좋고 부산만의 특징을 살려야 한다”(김미순 부산시인협회장), “교통과 환경이 좋아야 한다”(이석래 부산문인협회장) 등의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그리고 부산 근현대사가 농축된 원도심을 상징적 의미가 큰 만큼 입지 선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보수동책방골목이나 또따또가 지역의 3~4개 건물을 리모델링할 수도 있으며, 북항재개발구역도 근현대의 빼놓을 수 없는 장소이기에 그 문화지구에 짓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얘기도 나왔다. 최근 복원된 부산진역사도 언급됐다.

셋째 부산문학관 추진의 ‘느린’ 속도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전국 광역시 중에서 가장 뒤늦게 추진되는 공립문학관인 부산문학관 설립 안은 부지 문제로 한 차례 무산된 적이 있다. 지난해 5월 전문가 간담회를 연 뒤, 무려 1년이 지나서야 용역 착수 보고회도 열린 것이다. 너무 늦게 사업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지난해 이뤄진 것은 용역 예산을 확보한 것뿐이고, 올해 그 예산에 따른 용역이 진행되는데 과연 6~7개월 안에 부산문학관 부지와 성격을 정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우려가 있다. 김기환 문화체육국장은 “성격과 입지가 정해진다면 내년에 기본실시계획을 세워 연차적으로 부산문학관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글·사진=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