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판 ‘내로남불’에 LCC 본사 부산 유치마저 ‘흔들’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최근 100억 규모 영구채 발행… 부산 주주 반발
유상증자 결정 전엔 부정적, 후엔 입장 바꿔

지역 주주 “기준 뭐냐”… 유증 참여 불투명
불참 땐 지분 10% 이하… 통합 LCC 유치 ‘험난’

에어부산이 유상증자를 코앞에 두고 지금껏 부정적이던 영구채 발행을 단행해 구설에 올랐다. 에어부산의 주력 항공기인 A321neo. 에어부산 제공 에어부산이 유상증자를 코앞에 두고 지금껏 부정적이던 영구채 발행을 단행해 구설에 올랐다. 에어부산의 주력 항공기인 A321neo. 에어부산 제공

“그때는 안 되고 지금은 된다?”

지역 항공사 에어부산이 유상증자를 앞두고 회사채의 일종인 영구채를 발행해 구설수에 올랐다. 앞서 “자금 확보 수단으로 유증 대신 영구채를 발행하자”던 일부 주주들의 의견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고수하더니, 정작 유상증자가 확정된 후 입장을 바꿔 영구채마저 발행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잦은 유상증자에 불만이 컸던 일부 부산 주주들은 유증 참여에 더욱 부정적인 입장이 되어 버렸다. 부산 주주들의 유상증자 불참은 향후 통합LCC(저비용항공사) 본사 부산 유치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해석이다.


26일 에어부산 등에 따르면 에어부산은 지난 18일 100억 원 규모의 영구전환사채 발행을 결정해 다음 날 곧바로 발행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기존 아시아나 항공 등으로부터 빌린 채권의 스텝업(금리인상) 기간이 도래해 이를 갚기 위해 급히 영구채를 발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부산 주주 A사의 관계자는 “도대체 기준을 모르겠다. 2번째 유증 때 ‘더 이상의 유증은 없다’는 식으로 참여를 독려하더니, 다시 유증을 할 때 그에 대한 아무런 해명이 없었다. 영구채 발행도 마찬가지다. 당초 반대 입장을 뒤집고는 아무런 해명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것들 때문에 부산 주주사들이 ‘경영 참여 확대’를 유증 참여의 조건으로 내세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사정으로 9월 예정된 에어부산 유상증자에 일부 부산 주주들이 불참할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에어부산 주식 지분은 아시아나가 42.83%로 가장 많고, 이어 부산시를 포함한 부산 상공계(서원홀딩스, 동일홀딩스, 부산은행 등)가 16.8%를 가지고 있다. 유상 증자에 앞서 감자까지 예정된 만큼 부산 주주 일부만 유상증자에 불참하더라도 부산 주주 지분은 10%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지역 상공계에서는 “부산 기업의 유증 참여 없이 향후 에어부산과 진에어 등의 통합 과정에서 통합LCC 본사를 부산으로 가져오려는 주장이 얼마나 설득력을 얻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일각에서는 에어부산과 모회사 아시아나항공이 에어부산 부산 주주들의 유증 참여를 그다지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의 “통합LCC 허브는 인천”이라는 발언에서도 알 수 있듯, 향후 에어부산-진에어(대한항공 자회사)의 통합LCC 본사가 수도권으로 갈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굳이 에어부산 부산 주주의 지위를 높일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A사 관계자는 “부산 주주들이 유증 참여에 대한 조건을 제시했지만, 에어부산도 아시아나도 이에 대해 아무런 반응도 없다”며 “최소한 협의나 의견 조율 정도는 있어야, 부산 주주들도 유증 참여 여부를 좀더 적극적으로 고민할 것 아니냐”고 털어놓았다.

이에 대해 에어부산 관계자는 “유증 규모는 2000억 원 안팎인 데 비해 이번 영구채 발행 규모는 100억 원대로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라 유증과 영구채 발행을 직접 연결시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일부 부산 주주들의 요구 사항에 대해서는 에어부산이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적극적인 대응이 어려운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