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행사 아닌 국가적 행사, 글로벌 도시 부상 절호 기회”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스케일업 부산 컨퍼런스 2022] 내 삶을 바꿀 월드엑스포

김지윤 “샌프란시스코 같은 메가시티로 항구도시 개방성 조건도 갖춰”
김윤일 “윤 정부, ODA 예산 6배 증액”
서은숙 “균형발전 측면서도 매우 중요”

30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스케일업 부산 컨퍼런스 2022'에서 김지윤(왼쪽부터) 박사, 서은숙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김윤일 대통령실 미래정책비서관이 토론하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30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스케일업 부산 컨퍼런스 2022'에서 김지윤(왼쪽부터) 박사, 서은숙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김윤일 대통령실 미래정책비서관이 토론하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혁신을 핵심 테마로 다룬 ‘스케일업 부산 컨퍼런스 2022’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의제는 2030 부산월드엑스포였다. 세계박람회가 부산과 대한민국을 혁신시킬 가장 확실한 기회의 장이기 때문이다. 특히 컨퍼런스 두 번째 세션에선 ‘한국을 바꿀 엑스포, 내 삶을 변화시킬 엑스포!’라는 주제로 세계엑스포 유치를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김지윤 정치학 박사는 2030 부산엑스포가 왜 필요한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했다. 이어 서은숙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과 김윤일 대통령실 미래정책비서관이 토론에 참여해 유치 열기 돋우기에 가세했다.


■부산과 샌프란시스코

김지윤 박사의 발표는 ‘170만, 500만, 2400만’ 세 숫자로 시작됐다. 각각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2018 러시아 월드컵, 2020 두바이 엑스포 관람객 숫자를 의미한다. 김 박사는 “엑스포가 굉장히 많은 사람을 끌어온다”며 “엑스포가 부산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건 굳이 강조 안 해도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데, 그것만으로 엑스포를 추진하는 건 아니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170년 가까이 된 엑스포 역사를 개략적으로 살피며, 엑스포 유치가 도시에 가져온 변화를 소개했다. 1851년 런던 엑스포가 영국과 런던의 산업·과학·기술의 선진성을 보여준 것을 시작으로, 엑스포는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 기회의 장이 됐다. 이후 국가를 넘어 인류의 미래를 그려보는 현장으로 엑스포는 변했다. 김 박사는 "선진국 중심으로 개최되던 엑스포가 최근 들어서는 중견 국가들에서 열려 유치국이 한 단계 도약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고 최근 추세를 설명했다

특히 7400만 명이 방문한 2010 상하이 엑스포가 비중 있게 다뤄졌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이어 상하이 엑스포는 중국이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대국이 된 것을 공식화한 자리였다. 김 박사는 “중국의 생산력, GDP는 2008년, 2009년을 기점으로 급성장한다”며 “직접적이지 않아도 엑스포가 기여할 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엑스포 효과를 강조했다. 이어 김 박사는 2020년 두바이 엑스포를 언급하며 중동 국가들이 석유를 넘어서는 발전 전략을 꾀하는 노력이 엿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엑스포에서 소개된 신기술은 유치 도시와 결합해 인식된다. 1876 필라델피아 엑스포 전화기, 1893 시카고 엑스포 대관람차, 1970 오사카 엑스포 휴대전화, 2000 하노버 엑스포 친환경차 등 엑스포에서 세상을 바꾼 기술적 진보가 처음 선보인 사례는 무수하다. 김 박사는 “기술 소개 뒤 상용화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어 다음 엑스포에 나온 기술은 몇 년 안에 거리에서 볼 수도 있다”며 “중요한 것은 그 기술과 소개된 도시가 결합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전 세계인들이 2030 부산엑스포에 소개되는 신기술을 접하게 되면 동시에 부산을 함께 떠올릴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엑스포를 유치한다면 부산이 명실공히 세계적 도시로 부상할 수 있다는 게 김 박사의 전망이다. 그러면서 2030 부산엑스포 뒤 부산은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와 같은 메가시티가 될 수 있다고 봤다. 김 박사는 “항구도시의 개방성이 닮았다”며 “샌프란시스코의 발전 뒤엔 실리콘밸리, 그 뒤엔 스탠퍼드 대학이 있는데 부산도 비슷한 조건을 갖췄다”고 말했다.

■여야를 넘어, 부산을 넘어

두 번째 세션의 토론회는 청와대 관료와 야당 인사가 함께 나와 한목소리를 냈다. 김윤일 대통령실 미래정책비서관은 “윤석열 대통령은 엑스포가 단순히 부산이 아니라 국가 행사라며 구체적인 지시를 했다”며 “ODA(국제개발협력) 예산이 가장 중요한 실탄인데, 6배가량 증액시켰다”고 정부의 의지를 설명했다.

이어 서은숙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은 “부산을 위해서라도 여야가 목소리를 달리 낼 수 없는 사안”이라며 “문재인 대통령 때부터 국가 의제로 만들어 왔고, 국가 균형 발전 측면에서라도 대한민국 경제력을 높이는 데 굉장히 중요한 문제다”고 말했다. 2030 부산엑스포 필요성에 대해 서 위원장은 “부산이 성장하고 리빌드해 내외적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라고 평가했고, 김 비서관은 “국격에 비해 외교력이 떨어지는데, 엑스포를 통해 170개 회원국과의 교류와 교섭으로 외교를 다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30 부산엑스포가 부산과 대한민국 발전의 확실한 기회라는 데 여야가 이견이 없는 것이다.

두 토론자 모두 2025 엑스포가 같은 아시아인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것을 두고 ‘지역 안배’가 없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국내 홍보를 강화해 유치 열기를 높이고, 여성성·탄소중립 등 미래 가치를 유치 전략에 담아내야 한다는 데에도 동의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