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확대 나섰다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진해신항·가덕신공항 개발 계획
산업·물류 배후부지 수요 대응
중앙부처에서 국가계획 수립 중

진해신항 조감도. 경남도 제공 진해신항 조감도.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진해신항과 가덕신공항 개발에 대비하는 산업·물류 부지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확대를 추진하고 나섰다.

진해신항과 인접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에 조성된 산업용지가 이미 포화 상태에 달했고, 주변에 가덕신공항이 개발되면 산업·물류 부지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경남도는 부산과 경남에 걸쳐 분포돼 있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을 확대하기 위해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은 2003년 경제자유구역으로 처음 지정된 뒤 2017년 12월 현재의 면적으로 확정됐다. 이후 면적 변경이 없었다. 이로 인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내 경남지역 산업용지 368만 4000㎡ 중 98.5%인 363만㎡에 입주가 끝나 포화 상태다.

또 진해신항과 인근 가덕신공항 개발에 따라 향후 산업·물류 부지가 부족한 상황이고, 2032년 진해신항 9선석 개장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경제자유구역 확대를 통한 부지 확보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부산과 경남에 분포돼 있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지도(본 지도는 확대를 추진하는 경제자유구역과 무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제공 부산과 경남에 분포돼 있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지도(본 지도는 확대를 추진하는 경제자유구역과 무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제공

진해신항은 2040년까지 12조 원을 투입해 모두 21선석의 스마트 항만을 조성하는 경남 최대 국책사업이다. 진해신항이 최종 완공되면 부산항 신항과 더불어 2040년 기준 4200만TEU를 처리할 수 있는 세계 3위권의 물류 중심 항만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신항만 60선석 중 36선석을 경남도가 확보하게 돼 항만 기능이 경남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근에 건설될 가덕신공항은 물론 철도와 연계한 세계적인 트라이포트 물류 허브의 핵심 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양수산부에서 시행 중인 ‘제4차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 용역’에서도 2030년 항만배후부지 573만 2000㎡가 부족할 것으로 추정하는 등 진해신항과 가덕신공항 개발로 인한 산업·물류 배후부지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경남도는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트라이포트 배후 물류도시 개발구상 수립 용역’을 시행해 배후도시 방향, 토지이용계획, 광역교통계획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 이 용역에서 △경제자유구역 등 포괄적 마스터 플랜 수립 △배후 물류부지 수요·공급 계획 수립 △신경제권 형성을 위한 세계적 기업 유치전략과 단계별 실행계획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해양수산부와 국토교통부도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주변에 진해신항과 가덕신공항 개발을 추진해 해당 지역에 대한 각종 국가계획을 수립 중이다.

부산과 경남에 분포돼 있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내 국제산업물류지구 전경.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제공 부산과 경남에 분포돼 있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내 국제산업물류지구 전경.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제공

경남도는 경제자유구역 확대 추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항만배후단지 종합계획과 국가 첨단물류 플랫폼 구축용역 등 국가계획이 확정되면 국가계획에 따른 개발지역과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대상지가 중복되지 않도록 해 투자유치활동에 어려움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구체적 확대구역과 규모에 대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등과 협의할 예정이다.

김병규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진해신항, 가덕신공항 개발 등으로 부족한 산업·물류부지 공급을 위해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이 필요한 실정”이라며 “이를 위해 국가계획이 확정된 후 모든 사항을 검토해 경남도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상생할 수 있도록 경제자유구역 확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