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그라드는 한국 경제성장률, 2050년엔 ‘제로’ 가능성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개발연구원 보고서 발표
자본공급·생산성 증가세 둔화
1인당 GDP 증가율 1.3% 전망
경제활동 노동력 감소 주원인
“구조개혁 통한 생산성 개선을”

한국개발연구원(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과 김지연 경제전망실 모형총괄이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KDI 제공 한국개발연구원(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과 김지연 경제전망실 모형총괄이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KDI 제공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내년에 2%를 소폭 넘는 수준에서 계속 하락하다 2050년에는 0.5%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이같은 성장률 하락은 고령인구가 늘어나면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노동공급 감소에 주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8일 ‘장기 경제성장률 전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경제가 성숙해지면서 과거처럼 높은 성장률은 기대하기 힘들다”며 이같이 밝혔다.

먼저 우리나라는 1991~2000년 사이 연평균 7.2% 성장을 이뤘고 2001~2010년엔 연평균 4.7% 성장했다. 이후 2011~2019년 사이엔 성장률이 2.9%로 떨어졌다.

보고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후 2010년대 경제성장률은 생산성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는 △2023~2030년 연평균 1.9% △2031~2040년 연평균 1.3% △2041~2050년 연평균 0.7%로 예측됐다.



또 향후 5년간(2023~2027년) 성장률은 연평균 2.0%로 전망됐다. 특히 2050년에는 경제성장률이 0.5% 수준으로 하락하며 1인당 GDP 증가율은 같은 시점 1.3%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만약 생산성 증가율이 2011~2019년의 낮은 수준에서 정체되는 시나리오에서는 2050년 경제성장률이 0%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이같은 성장률 하락은 노동공급의 감소에 주로 기인한다”며 “노동공급은 그동안 경제성장에 기여해 왔으나 2031~2050년엔 성장기여도가 마이너스로 전환되고 그 폭도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생산연령인구(만 15~64세)는 2021~2030년에 357만명 감소하고 2031~2040년에는 529만명이 줄어든다.

KDI는 “인구구조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려면 구조개혁을 추진해 생산성을 개선해야 한다”며 “대외 개방과 규제 합리화 등 경제의 역동성을 강화하고 출산과 육아 부담으로 경제활동 참가가 저조한 여성과 급증하는 고령층이 노동시장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