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에 흥국생명 후폭풍… 은행 부도위험 지표 상승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서울 종로구 흥국생명 본사 모습.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흥국생명 본사 모습. 연합뉴스

레고랜드발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태가 촉발한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도 하락’이 금융권 전체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흥국생명과 DB생명이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조기상환)을 예정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지만,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지속되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잇단 금융권의 신뢰 위기는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수익을 거둔 국내 금융지주사들로까지 옮겨 붙고 있다.

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국내 4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의 CDS프리미엄 평균은 75bp(100bp=1%포인트)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22bp)과 비교하면 3배 넘게 상승한 수준이다.

CDS프리미엄은 국제금융시장에서 대외신인도를 측정하는 대표적 지표다. 수치가 높을수록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관의 부도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금융지주의 CDS프리미엄이 지난해 말 22bp에서 지난 4일 77bp로 올랐고, KB금융이 22bp에서 75bp로, 우리금융이 22bp에서 77bp로 각각 상승했다. 신한금융의 CDS프리미엄은 24bp에서 73bp로 뛰었다.

금융지주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지난 4일 기준 CDS프리미엄은 2017년 말 이후 약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4대 금융지주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은 13조 8544억 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사상 최대 수익을 달성했음에도 이들의 부도 위험이 높아진 것은 무엇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계속되는 영향이 크다.

한은이 급격히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시중은행 차주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이것이 금융지주 CDS프리미엄에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또 레고랜드과 보험사 등에서 발생한 사건도 국내 금융시장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레고랜드가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디폴트를 선언한데 이어 최근 흥국생명과 DB생명은 달러화 신종자본증권의 조기 상환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은 건전성과 별개로 기업의 자금 사정이 좋지 않다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