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더 이상 바다에서 눈물 흘리는 국민 없도록 최선 다하겠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종욱 신임 해양경찰청장, 해수부 기자단 간담회
“인사 혁신 통해 특정 부서·특정출신 지휘관 독신 구조 해소”
“해경은 4군 역할까지 멀티 임무… 질타도 받고 애로사항 많아”
“현장 사고는 현장서 완벽 처리…현장에 책임·권한 주고 지휘부 판단 존중”
“부단한 교육·훈련 통해 국익·사명감 우선 일하는 분위기 조성”

김종욱 해양경찰청장. 해양경찰청 제공 김종욱 해양경찰청장. 해양경찰청 제공

“더 이상 바다에서 눈물 흘리는 국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게 (지난 4일) 제 취임사의 마지막 요지입니다. 작은 일이든 큰 일이든, 우리(해양경찰)가 바다를 쳐다보고, 바다에서 재난이나 사건·사고를 잘 대응해서 우리 국민이 바다에서 눈물 흘리는 일이 없도록 제가 책무를 갖고, 늘 집행하는 현장에다 그런 것을 많이 주지시키고 싶습니다.”

김종욱 신임 해양경찰청장은 지난 11일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국민들의 기대와 엄중한 상황 속에서 중책을 맡게 되어 무거운 사명감을 느낀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4일 제19대 해양경찰청장에 취임한 그는 취임사에서 ‘기본 임무에 충실한 해양경찰’,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무를 완수하는 강한 해양경찰’, ‘상경하애(上敬下愛)의 정신으로 소통·화합하는 해양경찰’을 직원들에게 주문했다.


김종욱 해양경찰청장. 해양경찰청 제공 김종욱 해양경찰청장. 해양경찰청 제공

김 청장은 경남 거제 출신으로 거제 제일고를 졸업하고 경상대학교 법학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89년 순경으로 해경에 입문해 울산해경서장, 동해지방해양경찰청장, 해양경찰교육원장 등을 역임했고, 서해지방해양경찰청장 치안감에서 치안총감으로 2계급 승진한 ‘해양경찰 창설 70년 이래 첫 순경 출신 해양경찰청장’이다.

김 청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취임사에서 강조한 △인사 제도 개선과 혁신을 통한 공정한 기회 부여 및 직원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구조안전 등 각종 정책 고도화 △본청을 정책·기획·예산 중심으로 재편 등을 재확인했다.

김 청장은 인사제도 혁신을 우선 과제로 꼽았다.

김 청장은 “내적으로는 간부후보(경위) 출신과 순경 출신들이 공정한 경쟁을 통해 훌륭한 간부가 지휘관이 될 수 있도록 인사제도를 경찰청(육경)과 맞춰서 하겠다”며 인사 혁신을 통해 특정 부서, 특정 출신이 지휘관을 독식하는 구조를 일소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외적으로는 예산당국과 협의를 해야겠지만, 경비정이나 연안구조정, 헬기 등 임무형 장비는 물론, 현장에 있는 구조요원들이 슈트(잠수복)·레귤레이터(호흡기) 등 좋은 장비를 착용하고 입수할 수 있도록 예산 지원을 해야 한다”며 “또 일할 직원들이 (제대로) 일을 할 수 있도록 본청과 지방청의 업무를 이원화시켜서 본청은 정책이나 기획, 예산쪽을 담당하고, 앞으로는 지방청 단위까지 모든 사건·사고 대응은 지방청장 주관하에 할 수 있도록 제도와 현장을 구분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김종욱 해양경찰청장. 해양경찰청 제공 김종욱 해양경찰청장. 해양경찰청 제공

특히 김 청장은 “현장에서 일어난 사건·사고는 (현장인) 경찰서와 지방청에서 완벽하게 처리해야 한다. 현장 업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청을 정책·기획·예산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말했다.

김 청장은 “기상이 안좋을 때 폭풍우가 몰아칠 때 구조·단속 등 임무를 수행하는게 우리 해양경찰의 존재 목적이고, 특임경과(파트), 특공대 본연의 임무”라며 “(직원들이) 부단하게 교육과 훈련을 해야 남을 구조할 수 있고, 본인의 생명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건·사고 발생 시 완벽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심도 있는 교육과 실전형 훈련으로 직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팀워크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사람이라는게 국민이나 언론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것은 같은 일을 가지고 다르게 판단하기 때문”이라며 직원들이 국가 이익과 국민에게 돌아가는 이익을 우선시하는 자세로 사명감 있게 일해 줄 것도 주문했다.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해경 함정의 늑장대응과 현장 지휘 체계 논란과 관련한 질의에는 “현장의 일을 지휘관이라고 해서 판단을 하고 개입해서는 안 된다. 상황을 보고 현장에 출동한 함장이 선(先) 조치를 해야 한다. 현장에다 책임과 권한을 주고, 그 (현장) 판단을 지휘부에서 존중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 청장은 “해경경찰은 출항해서 바다에 나가면 치안 사무, 불법 외국어선 및 국내어선 단속, 침몰어선 구조·구급까지 해야 되고, 서해나 동해 국경을 관리하면서 안보 업무는 물론, 어떤 때는 무기도 사용해야 하고, NLL(북방한계선) 공간에서 해군 작전을 지원하는 등 (육·해·공군 다음으로) 4군 역할까지 한다. 치안 사무도 많은데 구조·구난·구급까지 해야 한다. 여러가지 멀티 임무를 하다보니 애로사항이 많다. 잘 할 때도 있지만 조금만 못 해도 (국민과 여론의) 질타를 받는다”고 말했다.

김 청장이 직전 서해지방해양경찰청장으로 일할 때만 해도 전남 목포·완도·여수 등에서 해경 경비정을 통해 연간 800여건의 응급환자를 바깥(육상)으로 수송하는 등 해경 경비정은 엠블런스 역할도 한다고 소개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