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지자체와 정부 해양·물류 정책 아우르는 연구실 될 것”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장하용 부산연구원 해양·물류연구실장

지난달 해운·물류 특화조직 출범
지방 권한 이양 맞춰 추진 근거 마련
쇠퇴하는 항만 새로운 동력 발굴 나서

부산연구원 해양·물류연구실 출범을 이끈 신현석(왼쪽) 부산연구원장과 장하용 해양·물류연구실장. 부산연구원 해양·물류연구실 출범을 이끈 신현석(왼쪽) 부산연구원장과 장하용 해양·물류연구실장.

“부산뿐 아니라 전국에서 유일하게 해양·물류 분야에서 지자체와 정부의 정책을 엮는 연구실이 될 겁니다.”

지난달 16일 부산연구원에서 만난 장하용 부산연구원 해양·물류연구실장은 연구실의 출범 의지를 이와 같이 밝혔다. 부산 경제의 핵심에는 해양과 물류가 있다. 부산연구원에는 이전에도 해양 관련 연구실이 있었지만, 해운과 물류 분야만을 다루는 조직이 출범한 것은 부산연구원 30년 역사에서 처음이다. 해양·물류연구실은 물류 분야에 특화된 정책을 발굴하고 이러한 사업을 추진할 시정의 객관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지난달 초 신설됐다. 장하용 실장을 필두로 5명의 연구위원이 진용을 꾸렸다.

부산에는 해양·물류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다양한 정부 기관들이 이미 존재한다. 그럼에도 부산연구원 내 비슷한 조직을 만들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장 실장은 이미 있는 정부 연구기관은 ‘부산’보다는 ‘정부’ 정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부산연구원의 조직과 구분된다고 설명한다. 해양·물류연구실은 정부의 정책을 부산 내에서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장 실장은 “부산뿐 아니라 전국으로 눈을 돌려봐도 해양·물류 분야에서 지자체와 정부의 정책을 함께 엮어서 연구하는 곳은 우리 조직이 유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양·물류연구실이 출범하는 데에는 원장님의 의지가 강하게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11월 취임한 신현석 부산연구원장은 “자치분권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지방으로 권한이 많이 이양되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이 시점에 맞춰서 부산이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의 근거를 만드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연구실 신설 배경을 밝혔다.

장 실장은 향후 연구의 키워드로 트라이포트 물류시스템, 쇠퇴하는 항만의 개발, 물류의 디지털화·탈탄소를 꼽았다.

그는 “가덕신공항, 부산신항, 육상물류로 구성된 부산 트라이포트 물류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정부의 정책과 연계하는 방안 등에 대한 연구를 이어나갈 것”이라며 “부산이 물류의 세계적인 추세인 디지털화·탄소화를 위기가 아니라 기회로 잡아 새로운 산업으로 이끌어갈 있는 방향도 연구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북항 우암부두처럼 쇠퇴하고 있는 항만들의 새로운 동력을 찾는 고민도 함께 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부산연구원은 부산이 해양 분야의 기술력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의미의 ‘블루테크노미’(해양+기술+경제)를 선도하고, 동북아 물류플랫폼 구축을 통해 동북아 해양수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마지막으로 부산이 해양물류 도시인 만큼 이미 부산에 자리잡은 정부의 다양한 정책기관들과 부산이 협력할 수 있는 협의체를 만들 의향도 있다고 전했다. 장 실장은 “물류는 우리나라의 핵심 산업 중 하나이고 물류의 중심이 바로 부산이다”라며 “부산 내 다양한 해양정책 연구기관들과 부산연구원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만들어 공동 발전 방향을 논의해 나간다면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