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생각하십니까] ‘YS기념관’ 명칭 놓고 부산시-시민단체 ‘평행선’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민사회 “업적 칭송 시설 변질”
협의체 구성 후 의견 수렴 요구

부산시 “명칭 변경 안 된다” 의지
역사시설 필요 긍정 여론 주장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부산공공성연대, 부산여성단체연합, 부산민중연대는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YS기념관 건립 졸속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제공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부산공공성연대, 부산여성단체연합, 부산민중연대는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YS기념관 건립 졸속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제공

‘(가칭)YS기념관’ 명칭을 둘러싸고 부산시와 부산지역 시민단체 간 의견이 엇갈리며 팽팽한 평행선을 이어가고 있다. 부산지역 시민사회는 부산시의 ‘(가칭)YS기념관’ 건립이 졸속으로 추진된다며, 시민협의체를 구성해 의견 수렴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반면 부산시는 명칭에 따라 기념관 콘텐츠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며, YS기념관 추진에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부산공공성연대, 부산여성단체연합, 부산민중연대는 24일 오전 10시께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YS기념관 건립의 졸속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 연대는 사업이 갑작스럽게 부산민주주의미래관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을 기리는 YS기념관이 됐고, 이 과정에서 충분한 시민 의견 수렴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연대는 “두 번의 토론회를 거치며 확인된 사실은 대통령기념관 또는 YS기념관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시는 YS기념관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인다”고 밝혔다.

시가 실시한 시민의식조사에서도 부산민주주의미래관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았는데, YS기념관으로 기정사실화해 추진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주장도 나온다. 부산시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적합한 역사기념관 유형으로 민주주의미래관으로 응답한 이들은 50.1%, 대통령기념관은 37.9% 였다. 연대는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 헌신하고 희생한 시민을 전면화해야 하는 사업인데, 갑자기 한 대통령의 업적을 칭송하는 시설물 건립 사업으로 성격이 변질됐다”며 “시와 시의회, 지역 전문가와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합리적인 의견 수렴 절차를 밟으며 내실 있게 추진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는 ‘YS기념관’을 명칭으로 한 기념관 건립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6일 열린 1차 시민 토론회는 ‘YS기념관 건립 의의’를 주제로 열렸고, 오는 30일 2차 시민 토론회도 ‘YS기념관 건립 필요성’을 주제로 진행된다.

시는 ‘YS기념관’ 명칭은 포기할 수 없다며, 시민사회가 요구한 협의체 구성에 대해서는 내부 검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앞서 시민 인식조사를 통해 드러난 민주주의미래관에 대한 높은 선호도는 대통령 기념관이 찬양일변도식으로 추진된다는 편견이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시가 추진하는 기념관은 대통령 명칭을 사용하더라도 내용 구성이 크게 바뀌지 않고, 인식조사에서 대통령 기념시설에 대한 필요성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됐다는 점을 들며 YS기념관 건립의 당위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시 민생노동정책과 관계자는 “용역을 통해 도출한 6개 대표 민주가치를 중심으로 주제에 맞는 체험 공간을 꾸리는 게 핵심”이라며 “기존 찬양일변도식 기념관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밝혔다.

한편 2021년 부산시가 실시한 부산 민주주의 역사기념관 건립 연구용역 결과, 부산민주주의미래관과 YS민주센터 등 2가지 건립안이 제시됐다.

부산민주주의미래관으로 추진할 경우 중심 콘텐츠로 민주주의 체험관을 운영하고, 대통령의 민주주의를 기획전시로 하는 ‘부산의 민주주의관’을 운영하게 된다. YS민주센터로 추진하면 ‘YS민주주의관’이 중심 콘텐츠가 되고 민주주의 체험관은 기획전시로 운영된다.

지난 3월 31일 열린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YS기념관이 부산이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라는 상징성과 부마민주항쟁·문민정부의 공과를 활용해 민주주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평가됐다. 반면 부산을 정치적 고향으로 하는 대통령이 많고, 정치적 찬반 논란 우려와 기념 콘텐츠 부족 등 문제점이 나왔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