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급한 불 껐지만… 경남 시군 절반은 ‘원정 출산’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통영 유일 분만병원 정부 지원 받아
문 닫을 위기서 정상운영 ‘한숨’ 돌려
경남 9개 시군 분만 가능한 곳 없어
“장려금보다 출산·보육환경 구축을”

보건복지부 분만취약지 지원 대상에 선정된 통영자모산부인과. 부산일보DB 보건복지부 분만취약지 지원 대상에 선정된 통영자모산부인과. 부산일보DB

경남 통영시에 사는 임신부들이 낯선 타지로 원정 출산을 떠나야 하는 불안을 덜게 됐다. 출생아 수 급감으로 문 닫을 위기에 처했던 지역 유일 분만 산부인과(부산일보 2022년 4월 6일 자 11면 보도)가 정부 지원 대상에 포함돼 정상 운영이 가능해졌다. 덕분에 통영시는 한시름 놓게 됐지만, 도내 18개 시군 중 절반은 아예 분만실이 없는 것으로 확인돼 이들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9일 통영시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2023년 분만취약지(C등급) 분만산부인과 지원사업’ 공모에 통영자모산부인과가 선정됐다. 이는 지역에 있는 분만산부인과가 의료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시설·장비 구축에 필요한 재원과 운영비를 선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통영 시에서 산부인과 진료를 보는 곳은 자모산부인과를 비롯해 통영중앙병원, 새통영병원, 미래산부인과 등 4곳이다. 하지만 이 중 분만과 산후조리까지 수행하는 곳은 자모산부인과뿐이다. 이 때문에 2021년 ‘분만취약 예정지’로 지정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저출산 여파로 분만 수요도 덩달아 줄어 경영난에 직면했다. 실제 통영지역 출생아 수는 최근 10년 사이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2012년 1551명이던 게 지난해 380명까지 줄었다. 인건비와 유지관리비 등 고정비 지출을 고려할 때 적자가 불가피한 구조다.

다행히 이번에 지원 대상에 포함되면서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갖추게 됐다. 수행의료기관인 자모산부인과는 앞으로 연간 5억 원(국비50%, 지방비50%)의 운영비를 지원받는다. 다만, 지원 첫해인 올해는 남은 6개월분에 해당하는 2억 5000만 원만 받는다. 통영시는 여기에 관내에서 출산한 산모에게 1인당 50만 원을 지급하는 ‘산모 건강관리비 지원사업’을 병행한다.

오영민 통영시보건소장은 “지역 내 안정적인 분만환경을 구축하게 돼 아이 낳기 좋은 출산 친화환경 조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로써 통영은 급한 불을 끄게 됐지만, 당장 도움의 손길이 절실한 지역이 한둘이 아니다. 경남 18개 시군 중 절반에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다. 사천·의령·함안·창녕·고성·남해·산청·함양·합천이다. 이 중 의령·남해·함양·합천 4곳은 보건복지부가 A등급 분만취약지로 분류했다.

분만취약지는 차로 1시간 내 이용할 수 있는 분만시설이 부족한 지역이다. 심각한 정도에 따라 A~C등급으로 나뉜다. 1시간 내 분만의료 이용률이 30% 미만이고, 분만 의료기관에 접근하기 어려운 인구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 A등급으로 분류한다. 이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B등급이 된다. 분만실별 배경 인구수 하위 30% 미만, A·B등급지를 제외한 지역을 C등급 취약지로 지정한다. 전국적으로 A등급은 30곳, B등급은 17곳, C등급은 61곳이다. 경남은 창원, 김해, 양산, 진주, 거제를 제외한 13개 지자체가 취약지다.

고위험 임신부를 받을 수 있는 응급분만 환경은 더 열악하다. 거제와 통영, 고성을 통틀어 유일하게 24시간 응급분만과 미숙아 관리를 해주던 거제 대우병원 분만·신생아실이 2020년 2월 폐업했다. 산후조리원 역시 마찬가지다. 경남에 민간 산후조리원이 있는 지역은 단 6곳에 불과하다. 이를 두고 지역 소멸을 막고 인구를 늘리기 위해선 일회성 출산장려금보다, 출산·보육 사각지대 해소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도는 하반기 자체 시범사업으로 ‘사천 청아여성의원’에 분만산부인과를 설치, 운영하는 등 취약지 인프라 확충과 공공의료서비스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경남도 김옥남 가족지원과장은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증진을 위해 공공산후조리원 등 공공서비스 강화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