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일기] 부산시장이 부산문학관 추진 직접 챙겨야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최학림 문화부 선임기자

2021년 제주문학관 개관식 모습. 제주문학관 홈페이지 캡처 2021년 제주문학관 개관식 모습. 제주문학관 홈페이지 캡처

국민소득 향상의 한국적 추세 속에서 부산 문화도 상당히 풍부해졌다. 부산시 문화정책도 굉장히 다변화됐고 전향적인 것들이 많아졌다. 부산시는 이미 2020년 ‘우리 삶의 토대이자 생활양식으로서 문화’를 널리 천명한 부산시민문화헌장까지 선포했다. 하지만 부산시가 많은 일을 한꺼번에 추진하기에 때론 뒤로 처지는 것도 생긴다. 그중 하나가 공립문학관인 부산문학관 건립 추진이다.

많이 알려진 것처럼 6대 광역시 중 아직 공립문학관이 없는 곳은 부산뿐이다. 불편하고 뼈아프다. 대전·인천·대구·울산은 운영한 지 벌써 10년 안팎에 이르고, 광주는 2021년 착공해 올 하반기 개관을 앞두고 있다. 2016년 문학진흥법 제정 이후 곳곳의 공립문학관 설립은 가속돼 현재 전국 문학관 100여 곳 중 공립문학관은 50곳이나 된다. 경남의 공립문학관만 해도 경남문학관 청마문학관 박경리문학관 박경리기념관 김달진문학관 등 12곳을 헤아린다(이들과 부산의 요산김정한문학관 이주홍문학관 추리문학관은 사설문학관으로 다르다).

아닌 게 아니라 부산문학관 건립 추진은 일단 닻을 올렸다. 그럼에도 어쩐 일인지 현재 상황은 부지조차 확정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부산일보 6월 5일 자 18면 보도). 지금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부산시장이 직접 챙겨야 한다는 점이다. 부산문학관 건립은 무엇보다 시장 공약사업이기도 하다.

2021년 개관한 제주문학관. 이런 행사가 열리는 것이다. 제주문학관 홈페이지 캡처 2021년 개관한 제주문학관. 이런 행사가 열리는 것이다. 제주문학관 홈페이지 캡처

시인 김수영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역사라도 좋다’고 했는데 전통/역사가 누수돼서는 안 된다. 1980년대 지역문학·문화 운동의 가장 뚜렷한 깃발을 세운 곳이 부산이었다. 그것이 한국사 최대의 근대도시로 성장한 부산의 ‘거대한 뿌리’다. 그런데 그런 부산이 왜소해지고 있다고 할까. 청년들이 부산을 이탈하고, 한국 제2도시 위상도 흔들리는 와중에 물적 토대로서 경제 기반을 확충해야 하겠지만, 더더욱 전통/역사를 새겨 문화적 긍지를 세워야 하는 것이다.

2021년 제주문학관은 개관하면서 “제주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제주 정신의 보물창고’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토해냈다. 그 포부는 제주문학을 구비문학, 제주어문학, 4·3문학, 바당문학(바다문학)으로 갈래지어 구체화시키고 있다. 이런 것이다.

물론 문학은 ‘지금, 여기’ 현재와의 치열한 언어적 고투일 것이다. 그러나 무엇을 했는지 살펴야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좌표 설정할 수 있는 법이다. 특히 2000년 전후는 한국 근대문학 100년을 헤아리는 시점이었다. 여전히 그 역사를 멀뚱히 쳐다만 보고 있을 때 그것의 유실은 엄청나다는 것이 드러났다. 당장 우리 눈앞에서 동시대인 1980년대 부산문학 자료들이 엄청나게 유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거대한 뿌리’의 상당 부분이 소실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나 부산은 피란수도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지만 그 시대 문학을 정리한 성과물조차 두서없이 소략하다.

단일 국민문학이 아니라 각각의 지역에서 지역문학 역사를 정리하고, 지역문학 장을 혁신해서 시민의 삶을 풍요롭게 해야 한다는 지역적 자각은 충만하다. 그런 만큼 그 구심점의 하나로 부산문학관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문학사의 체계, 부산정신사의 요체를 세워 ‘뼈대 있게 맥을 잡는 도시 부산’의 근거지로서 부산문학관을 능히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어 문학을 생각하다’란 주제로 열린 2022제주문학포럼. 제주문학관 홈페이지 캡처 ‘지역어 문학을 생각하다’란 주제로 열린 2022제주문학포럼. 제주문학관 홈페이지 캡처

지난해 연말 대전문학관 개관 10주년 기념 세미나에 토론자로 참석했을 때 부러웠다. 부산의 경우, 부산문학을 역사적으로 정리한 책이 단 1권밖에 없다. 그것도 26년 전인 1997년 부산문인협회가 발간한 <부산문학사>다. 그런데 대전에는 해방기~1970년대 각 시기를 다룬 연구총서 5권을 이미 갖추고 있었다. 대전문학관은 올해~내년 <1970년대 대전문학> 중·하권을 내고, 이후 시기의 대전문학사 정리 작업을 계속한다고 한다. 대전문학관 개관 10년 성과는 녹록찮다. 17차례 대전문학 기획전, 대전문인 85명에 대한 사진·영상 아카이빙 작업, 시 확산 시민운동 등은 층과 결을 풍부히 하면서 대전문학의 매무새와 향방을 잡아나가고 있는 사업들이다. 이래서 지역 문학·문화 진흥의 핵심공간인 공립문학관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문학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문화계 전반의 공감대는 두텁다. 부산시가 일을 하지 않으려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문제는 일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더더욱 시정의 컨트롤타워로서 시장이 부산문학관 추진 사항을 직접 챙겼으면 하는 것이다. ‘문화는 시민의 행복한 일상과 조화로운 공동체를 일구는 밑거름’이라고 부산시민문화헌장은 천명했다.

최학림 문화부 선임기자. 부산일보DB 최학림 문화부 선임기자. 부산일보DB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