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리스크 관리 나선 은행권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새마을금고 사태로 금융권 불안
올 들어 잔액·연체 늘어 선제 대응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사태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불안감을 자극할 가능성이 점쳐져 채권시장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사태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불안감을 자극할 가능성이 점쳐져 채권시장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새마을금고 사태로 촉발된 금융 불안이 은행권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은행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잔액이 올해 들어서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는데, 경기 침체로 연체가 발생하는 곳이 나타나고 있다. 은행권은 관련 리스크 전이를 막기 위해 선제 대응에 나섰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6월 말 기준(신한·NH는 5월 말 기준) 부동산 PF 잔액은 16조 423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말(14조 1264억 원) 대비 2조 2974억 원(16.3%) 증가한 규모다.

5대 은행 부동산 PF 잔액은 2020년 말에는 10조 원에 못 미쳤으나, 지난해 말 14조 1264억 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잔액은 2020년 말과 비교하면 75.5% 늘어난 수준이다.

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아직 극히 낮은 수준이다. 다만 올해 들어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PF 부실 우려가 확대되자 은행권이 연체채권 상각 조치 등을 단행했지만, 올해 들어 일부 사업장에서 다시 연체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새마을금고 사태의 촉발 원인 중 하나로 부동산 PF 대출 부실이 꼽히자 은행 등 타 금융업권의 잠재 리스크에도 우려의 시선이 쏠린다. 최근 새마을금고 사태는 부동산 관련 업종에 적극적으로 대출을 내줬다가 경기 하강과 금리 인상 등으로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부실이 증가한 것이 큰 요인이다.

금융권에서는 새마을금고 사태의 여파가 은행 등 1금융권으로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은행권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선제적 리스크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부동산 PF 시장이 정상화될 때까지 보증부 여신 위주로 안정적인 영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시중은행들은 보유하고 있는 PF 사업장에 대해서는 분양 현황, 공정률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 부실화 가능 자산을 사전에 파악한 뒤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보수적 운용 기조는 지속하면서 정상화 가능 사업장에 대해서는 추가지원을 검토 중에 있다”며 “자산관리공사의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가동에 따라 신규 투자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