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취미 중시 신노년도 참여 가능한 ‘고령친화도시’로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액티브 에이징 도시로

노인 욕망 생애 주기별로 다양
정책 ‘천편일률적’ 반영 못 해
‘베이비붐 세대’ 등 노년 유입
기존 대책으론 욕구 반영 안 돼
이들 위한 ‘새 공간’ 마련 시급
‘노인 부정 이미지’ 탈바꿈해야
세대 통합·연대 지속가능 복지를

이제 막 노인 세대로 진입한 만 70세 미만의 ‘베이비붐 세대’는 기존 노인과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어 부산에 새로운 노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부산 중구 중앙공원에서 노인들이 나무그늘에 앉아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이제 막 노인 세대로 진입한 만 70세 미만의 ‘베이비붐 세대’는 기존 노인과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어 부산에 새로운 노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부산 중구 중앙공원에서 노인들이 나무그늘에 앉아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의 고령화는 이미 현실이다. 부산의 고령화율은 지난 5월 21.7%를 기록했다. 지난해 21.2%보다 0.5%포인트(P), 전월보다는 0.08%P 증가했다. 현재 부산 인구의 25%를 차지하는 장년층은 10~15년 뒤에는 노년층으로 진입한다. 게다가 이제 막 노인 세대로 진입한 만 70세 미만의 ‘베이비붐 세대’는 기존 노인과는 또 다른 특성을 갖고 있어 부산에 새로운 노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 같은 노인이 아니다

100세 시대를 놓고 볼 때, 만 65세 이상부터 30년 이상을 ‘노인’으로 살아간다. 어린이, 청소년, 청년 등의 정책은 생애 주기별로 세부적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노인 정책은 60대든 90대든 크게 다르지 않다. 노인이라고 다 같은 노인이 아니고, 다양한 욕망을 갖고 있지만 정책은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의 노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이른바 ‘신노년’ 세대가 고령화되고 있다. 흔히 ‘베이비붐 세대’라 불리는 1955~63년생은 그 이전 세대에 비해 평균적으로 학력이 높고, 맞벌이를 많이 하는 편이며, 자녀를 많이 낳지 않은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이전 세대가 혈연, 지연을 중시한 것에 비해 이들은 오히려 학연을 중시하거나, 취미생활이 맞는 사람과의 모임을 중시하는 경향을 갖는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노인복지법과 정책으로는 이들의 욕구를 반영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정책은 '장기요양보험, 기초연금, 일자리'라는 3가지 틀을 두고 구성돼 있어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노인생활과학연구소 한동희 소장은 “노인이 사회생활, 취미생활 등을 하고 싶은 욕구는 다양해지지만 사회는 여전히 노인을 하나의 틀에 가둬놓고 똑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액티브하게 나이 들기

신노년과 앞으로 노년이 될 장년층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노인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는 경로당과 노인복지시설 등이 있지만, 이 시설 이용층 역시 고령화되고 있다. 노인복지계 종사자들에 따르면 경로당은 80세 이상, 노인복지관은 75세 이상이 주 이용층이다. 부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 이재정 책임연구원은 “신노년 세대가 갈 만한 공간이 없다 보니 낮시간대에는 카페에 주로 모이곤 한다. 이들이 모여서 원하는 취미·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HAHA센터’를 추진하고 있다. ‘건강하고 행복하게 나이 들기(Happy Aging, Healthy Aging)’의 약자다. 시는 현재 추진 중인 ‘15분 도시’와 연계해 올해 3곳을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인데,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내놓지 않은 상태다.

노년 세대가 지역 사회에서 '액티브 에이징(활동적 나이 들기)'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세대 간 통합도 필요하다. 특히 손주를 돌보는 노년층이 늘어나는 만큼, 아동과 노인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도 나온다. 고령층과 아동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 등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지속가능한 노인복지

지속가능한 노인복지를 위해서는 노인이 더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온다. 노인을 복지 혜택을 받기만 하는 피동적인 존재로 볼 게 아니라, 참여자이자 제공자, 수혜자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노인이 노인을 돕는 ‘노노케어’와 같이 노인이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복지의 형태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바꾸는 것도 급선무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 관련 시설이 ‘기피시설’로 인식돼 건립조차 쉽지 않은 실정이다.

외국의 경우 고령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오히려 이를 긍정적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미국의 경우 지속적 돌봄을 제공하는 노년층 주거단지인 ‘CCRC(지속적 돌봄 은퇴 공동체)’가 꾸려져 있다. 일본에서도 CCRC를 도입해 운영하는데, 노인이 스스로 살고 싶은 지방으로 옮겨 가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해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는 분석도 나온다.

노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부산 슈퍼 시니어단 100인' 등과 같은 정책 회의, 시니어 자원봉사단, 노인옴부즈만 제도와 같은 대안 도입도 거론된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