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비평] 네이버, 뉴스 생태계 복원에 힘써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화행 동명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수익 위해 포털 입맛대로 뉴스 서비스
‘편집권 침해·미디어 시장 왜곡’ 지적
불신 키워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 하락
아웃링크 도입해 언론계와 상생해야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인공지능(AI) 기반의 포털 뉴스 검색 순위 알고리즘을 의도적으로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네이버에 대해 실태 점검에 들어갔다. 의혹이 공론화되자 네이버는 ‘3차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를 구성하였고, 홈페이지에 알고리즘을 공개하는 코너를 신설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하지만 네이버의 고민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네이버는 지난 몇 개월 사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 운영과 뉴스 콘텐츠 제휴 약관 개정, 아웃링크 방식 도입 등 뉴스 서비스 정책 결정에서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뉴스 서비스를 둘러싼 여러 논란의 중심에 서 왔다. 그 대부분의 논란은 현재도 진행형이어서 네이버 측의 선택과 결정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먼저, 지난달 네이버는 카카오와 함께 언론사의 입점과 퇴출 관리 목적으로 운영해 온 제평위의 활동을 잠정 중단하는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제평위의 회의록이나 심사 과정이 공개되지 않고 평가위원들의 정치적 성향이 편향됐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기사형 광고를 노출한 연합뉴스에 대해 퇴출 조치를 한 제평위의 결정은 제평위가 언론사의 입점·퇴출을 자의적으로 결정하는 구조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는 근원적인 문제를 던지게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언론의 윤리적 책임을 묻고 문책하는 일은 포털의 권한이 아니기 때문에 제평위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충분한 설득력을 가진다.

다음으로 지난 3월 말 네이버는 뉴스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언론사 콘텐츠에 다른 사이트로 연결되는 주소(URL)나 큐알(QR)코드를 넣지 못하게 하는 내용의 ‘뉴스 콘텐츠 제휴 약관 개정안’을 제휴 언론사들에게 일방적으로 통보하였다. 개정 조항이 네이버에 뜬 뉴스 콘텐츠가 사실상 개별 언론사의 사이트로 연결되는 것을 막는 것으로, 언론의 편집권과 독자의 정보 접근권을 침해한다는 언론계의 반발과 갑질 논란에 휩싸이자 네이버는 결국 개정안 시행을 취소하였다. 독과점적 지위를 확보해 뉴스 유통의 권력자로 등장한 거대 플랫폼 기업이 언론사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가 허용되어서는 안 될 일이다.

또 지난 3월 네이버는 4월 1일 자로 시범 적용하기로 한 아웃링크 방식 도입을 돌연 무기한 연기하였다. 이는 뉴스 소비자가 검색한 정보의 결과를 클릭하면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네이버의 연기 조치는 가이드라인에 제시한 제재가 과도하고 의견 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일부 언론사들의 반발이 있기도 했지만, 네이버의 진정성에 대한 의심과 불신만 키운 결과를 가져왔다.

뉴스 저작권자인 언론사 사이트에 뉴스를 노출하게 하는 아웃링크는 뉴스 제작자가 트래픽과 광고 효과라는 정당한 보상을 받게 하는 공정한 시스템으로, 구글 등이 시행하고 있는 글로벌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언론사는 아웃링크를 통해 이용자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어 3D, 애니메이션, 상호 작용 뉴스 활성화 등 디지털 저널리즘의 질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인링크만을 고집하며 이용자의 체류 시간과 수익 극대화에 몰입하는 탐닉적 태도는 미래 저널리즘의 발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참여자 간 상생을 거부하는 처사로 비난받아 마땅하다. 아웃링크 방식의 도입은 제휴 언론사들과의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쳐 반드시 실현해야 할 과제이다.

이런 논란의 와중에 2017년 80%에 근접하던 네이버의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63%까지 하락하였다. 같은 기간 구글의 시장 점유율이 9%에서 31%로 급성장세를 보였고, 챗GPT의 등장과 유튜브의 성장세 역시 검색 시장의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 검색 점유율 하락은 네이버의 경쟁력 측면에서 치명적이다. 이런 맥락에서 네이버가 사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뉴스 서비스와 관련하여 내리는 판단과 결정 하나하나는 중요할 수밖에 없다.

포털 뉴스 이용자의 89.7%가 이용하는 네이버에 뉴스 유통 시장을 내준 한국 언론계는 불공정한 생태계 속에서 신음하고 있다. 네이버가 언론의 발을 묶어 둔 채 여러 방식으로 뉴스 서비스의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는 왜곡된 생태계가 변화하지 않는 한 뉴스 소비의 획일화와 여론 양극화와 같은 공론장의 황폐화는 숙명처럼 한국 저널리즘을 퇴행시킬 것이다.

여론의 다양성과 자유로운 공론장 형성에 기여하는 사회 시스템인 저널리즘은 직업윤리와 가치의 영역이지 상행위의 영역이 아니다. 국내 언론 생태계가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고 상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길에는 포털의 상식과 공정에 기반한 현명한 판단과 결정이 꼭 필요하다. 뉴스 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네이버의 결단을 기대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