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300명 이내 조직으로…항우연 등 흡수 안해(종합)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 설립·운영 기본 방향' 발표…“최소 인력으로 시작”
기존 우주 R&D 기관들 그대로 두고 '임무센터'로 지정해 임무 수행 지시
법 통과전 논의 주도권 잡기 해석도…이종호 장관 "국민 궁금증 해소 차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우주항공청 설립운영 기본방향'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우주항공청 설립운영 기본방향'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연내 개청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 NASA(미 항공우주국’)인 우주항공청의 밑그림이 공개됐다.

정부는 우주항공청 산하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과 한국천문연구원(이하 항우연) 등 기존에 우주 관련 연구개발(R&D)을 담당했던 외부 조직을 흡수하지 않기로 했다.

대신, 우주항공청 내에 우주항공임무본부를 만들고 이 조직이 외부의 우주 R&D 조직에 임무를 하달하고 성과를 내도록 하는 방식으로 우주개발 업무를 수행할 방침이다. 즉, 우주항공청도 발사체, 인공위성 등 주요 우주 R&D 임무를 수행하되, 항우연 등 기존 우주 R&D 담당 기관들의 연구조직을 외부 임무센터로 지정하는 형태다.

우주항공청의 전체 조직은 300명 이내 인력으로 구성하며 점차 늘려나가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이같은 내용의 '우주항공청 설립·운영 기본 방향'을 발표했다. 지난 4월 국회에 제출한 '우주항공청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을 토대로 더 구체적인 조직 운영 계획을 공개한 것이다.

우주항공청의 위상과 조직 구성 등을 두고 국회에서 여야가 이견을 보이고 있지만, 일단 주무 부처가 나서 기본적인 조직 얼개와 운영 계획안을 공개하면서 논의의 주도권을 유지하려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도 전날 갑자기 브리핑을 결정한 이유에 대해 "우주항공청 설립 특별법안이 확정된 이후에 관계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하고 구체화해 보고할 예정이었다"면서도 "법안을 제출한 지 시간이 많이 지났고 우주항공청의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서 궁금해하시는 점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조직 규모와 관련, 과기정통부는 일단 최소한 규모로 시작해 계속 인재들을 합류시키는 방향으로 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우주항공청의 조직은 필요 최소한의 인력으로 구성해 효율적으로 운영하겠다"며 "지속 확대되고 있는 우주항공 분야의 수요와 임무를 체계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300명 이내의 인력 규모로 분야별 핵심 전문인력이 일하는 임무조직과 이를 지원하는 기관운영조직으로 설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표한 기본 방향에 따르면, 우주항공청은 임무 조직과 기관운영 조직으로 나뉘며 임무 조직은 발사체 부문, 우주과학·탐사 부문, 인공위성 부문, 첨단항공 부문, 우주항공정책 부문, 우주항공 비즈니스 부문을 둔다. 우주항공국제협력 부문은 청장 직속으로 관리한다.

우주항공청은 정책 수립과 R&D, 기술 확보, 산업육성과 국제협력, 인력양성 등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각 부처에서 수행하는 우주항공 분야 정책과 육성, 국제협력 부문을 모두 우주항공청으로 이관한다. 또 국가 위성 운영이나 우주 환경감시 등 공공·안보 성격이 큰 국가 인프라는 우주항공청 소속 기관으로 두는 방안을 검토한다.

다만, 항우연·천문연 등 우주항공 전담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우주항공청 소속으로 흡수하지 않고 과기정통부 산하로 그대로 두기로 했다.

임무 조직은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하며 정책, R&D, 비즈니스, 국제협력 등 기관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R&D 분야는 발사체, 인공위성, 우주과학탐사, 첨단항공 부문을 나눠 임무를 발굴하고 설계, R&D 총괄 등을 담당한다. 기관 운영조직은 인사, 감사, 홍보, 기획조정, 운영지원 등 행정 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우주 분야 국가 R&D에서는 우주항공청이 기술혁신을 이끌고 산학연이 협력하는 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우주항공청이 선도적 연구를 통해 국가적 역량을 모을 필요가 있는 대형사업을 설계하고, 이후 산학연과 공동 R&D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