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복지원, 원생 해외 입양 ‘돈벌이 의혹’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980년대 수백명이 숨진 형제복지원에는 아동 수용자들을 위한 학교인 개금분교가 있었다.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개금분교의 기록은 생활기록부, 졸업앨범 등의 형태로 부산 개금초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금분교 제 1회 졸업사진. 부산일보DB 1980년대 수백명이 숨진 형제복지원에는 아동 수용자들을 위한 학교인 개금분교가 있었다.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개금분교의 기록은 생활기록부, 졸업앨범 등의 형태로 부산 개금초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금분교 제 1회 졸업사진. 부산일보DB

부산 지역 최악의 인권유린 사건으로 기록된 형제복지원이 해외 입양아 ‘공급책’ 역할까지 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되면서 형제복지원이 돈벌이를 위해 해외 입양을 대거 추진했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돼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AP통신은 지난 9일 국회의원, 정부관계자 등을 통해 형제복지원이 1979년부터 1986년 사이 아동 19명을 해외에 입양 보냈다는 직접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AP통신은 이들 19명 외에도 51명 이상이 해외에 입양됐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AP통신, 1979년부터 1986년

아동 19명 입양 직접 증거 확보

입양 대가 ‘금전거래’ 가능성도

정부 차원 입양 기록 조사 촉구

특히 AP는 미네소타 아동 가정 협회, 딜런 인터내셔널, 캘리포니아 아동 가정 협회, 가톨릭 사회 복지 서비스 및 스펜스-샤핀 등 5개의 다른 미국 기관이 형제복지원에서 아이들을 데려간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해외 입양이 있었다는 일부 증언은 이어졌지만 피해 규모나 실태 등이 언급된 적은 없었다. 아동들의 인권을 유린하고 강제 노역이 자행됐던 형제복지원에서 해외 입양이 있었을 경우 입양 과정에서 형제복지원을 운영했던 박인근 일가가 ‘입양 대가’로 돈을 받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해외 입양 기관이 구체적으로 확인된 만큼 정부 차원에서 당시 입양기관 등을 대상으로 입양 기록 전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회복지연대 김경일 사무국장은 “돈을 받고 원생들을 해외에 입양시켰다면 명백한 국가 폭력의 증거다”며 “명확하고 확실한 국가 차원의 진상조사를 위해 과거사법이 속히 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형제복지원 사건은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부랑인을 선도한다는 이유로 장애인, 고아 등을 부산 형제복지원에 불법 감금하고 강제 노역시킨 사건이다. 무려 12년간 학대와 폭력으로 인해 공식 확인된 사망자만 551명이다. 지난해 9월 부산시는 형제복지원 사건과 관련해 30년 만에 공식 사과했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비상상고를 신청했고 대법원은 비상상고 진행을 검토 중이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