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부침많은 일생…재계 2위에서 부도덕한 경영인으로

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9일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사진은 지난 2017년 3월 22일 서울 힐튼 호텔에서 열린 대우그룹 창업 50주년 기념식 행사에서 인사말을 마친 뒤 연단에서 내려오는 김 전 회장 모습. 연합뉴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9일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사진은 지난 2017년 3월 22일 서울 힐튼 호텔에서 열린 대우그룹 창업 50주년 기념식 행사에서 인사말을 마친 뒤 연단에서 내려오는 김 전 회장 모습. 연합뉴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주요 연보.연합뉴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주요 연보.연합뉴스


9일 향년 83세로 별세한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은 재계 2위 그룹의 총수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부도를 내고 해외도피 생활을 하는 등 부침 많은 삶을 살았다.

김 전 회장은 한국전쟁으로 부친이 납북된 이후 서울로 올라와 당시 명문 학교인 경기중과 경기고를 나왔다.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66년까지 섬유회사인 한성실업에서 일했다. 그러다가 만 30세인 1967년 자본금 500만 원, 직원 5명으로 트리코트 원단생산업체인 대도섬유의 도재환 씨와 손잡고 대우실업을 창업했다. 대우는 대도섬유의 ‘대’와 김우중의 ‘우’를 따서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

1973년에는 영진토건을 인수해 대우개발로 간판을 바꿔 달고 무역부문인 대우실업과 합쳐 그룹의 모기업격인 ㈜대우를 출범시켰다. 이어 1976년에는 옥포조선소를 대우중공업으로 만들었고, 1974년 인수한 대우전자와 1983년 대한전선 가전사업부를 합쳐 대우전자를 그룹의 주력으로 성장시켰다.

대우그룹은 또 에콰도르(1976년)에 이어 수단(1977년), 리비아(1978년) 등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통해 해외사업의 터를 닦았다.

김 전 회장의 거침없는 확장 경영의 결과 창업 15년만에 대우는 자산 규모 국내 4대 재벌로 성장했다.

해외영업에서 남다른 수완을 발휘한 김 전 회장은 '박정희 정권'에서 가장 두드러진 기업인으로 주목받았다. 박 전 대통령이 김 전 회장의 부친이 대구사범 은사라는 것을 알게 된 이후 절친한 사이가 된 것으로 재계에서는 전해진다.

1996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세계 경영에 대해 설명하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연합뉴스 1996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세계 경영에 대해 설명하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연합뉴스

김 전 회장은 1980∼90년대에도 저서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에서 강조한 대로 '세계경영'에 매진했다.

45세 때인 1981년 대우그룹 회장에 오른 이후 세계경영을 기치로 내걸고 그룹을 확장했다. 특히 1990년대 동유럽의 몰락을 계기로 폴란드와 헝가리, 루마니아,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 자동차공장 등을 인수하거나 설립하며 글로벌 경영을 본격화했다.

이에 따라 대우는 1998년말에는 396개 현지법인을 포함해 해외 네트워크가 모두 589곳에 달했고 해외고용 인력은 15만 2000명을 기록했다. 당시 고인은 연간 해외 체류기간이 280일을 넘기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러나 1997년 11월 닥친 외환위기는 세계경영 신화의 몰락을 불러왔다. 1999년 그룹 해체 직전까지 자산규모 기준으로 현대에 이어 국내 2위였다. 해체 직전인 1998년 대우의 수출액은 186억 달러로 당시 한국 총 수출액(1323억 달러)의 14%를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우그룹은 1998년 당시 대우차-제너럴모터스(GM) 합작 추진이 흔들린 데다 회사채 발행제한 조치까지 내려져 급격한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대우그룹은 41개 계열사를 4개 업종, 10개 회사로 줄인다는 내용의 구조조정 방안도 발표했지만, 위기를 넘기지 못하고 1999년 8월 모든 계열사가 워크아웃 대상이 되면서 해체됐다.

아울러 김 전 회장은 21조 원대 분식회계와 9조 9800억 원대 사기대출 사건으로 2006년 1심에서 징역 10년, 추징금 21조 4484억 원을 선고받았다. 항소심에서 징역 8년 6월, 추징금 17조 9253억 원으로 감형됐으며 대법원에서 확정됐다.

김 전 회장은 그룹 해체 이후 과거 자신이 시장을 개척한 베트남을 '제2의 고향'으로 삼아 머물며 동남아에서 인재양성 사업인 '글로벌 청년 사업가(GYBM)’ 프로그램에 주력하며 명예회복에 나서기도 했다. 고인은 2014년 신장섭 싱가포르국립대 교수가 집필한 대화록 '김우중과의 대화-아직도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를 통해 대우그룹의 해체는 경제관료들의 정치적 판단 오류 때문이라는 '기획 해체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고인은 지난해 8월 말 베트남 하노이 소재 GYBM 양성 교육 현장을 방문하고 귀국한 이후 건강이 안 좋아져 통원 치료를 하는 등 대외활동을 자제해오다 같은 해 12월 말부터 증세가 악화해 장기 입원에 들어갔다고 대우 관계자는 밝혔다. 고인은 17조 원에 이르는 미납 추징금과 세금을 내지 못한 상태로 생을 마감했다.

김 전 회장이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던 것은 지난해 3월 열린 대우 창업 51주년 기념행사가 마지막이다. 대우그룹 임직원들은 1999년 그룹 해체 이후에도 매년 창업기념일에 기념행사를 진행해왔으며 김 전 회장을 포함해 300여 명이 참석해 왔다.

대우 관계자는 김 전 회장이 "청년들의 해외진출을 돕는 GYBM 교육사업의 발전적 계승과 함께 연수생들이 현지 취업을 넘어 창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체계화해줄 것"을 유지로 남겼다고 밝혔다.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



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