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적 시장’ 체제… 여야 없는 ‘선의의 경쟁’ 나서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부산일보DB

한 달 후 본격 출범하는 21대 국회에선 부산 당정관계에 일대 변화가 예고된다.

4·15 총선을 통해 부산 정치권의 주도세력이 바뀐데다 현직 부산시장이 성추행 사건에 연루돼 불명예 사퇴하는 초유의 일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무(無)당적 시장’ 시대를 맞아 여야 정치권이 부산 경제 살리기에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변 시장 대행 “정치적 중립” 밝혀
정무라인에 ‘중도파’ 기용 검토
여야 의원들 “변 대행 총력 지원”
‘여야정 상설 협의체’ 발족 움직임
경제살리기 초당적 협력 기대

비록 한시적이긴 하지만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체제는 위기의 늪에 빠져 있는 ‘부산호’를 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게 됐다. 전임 오거돈 전 시장이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에 편향된 당정관계를 지속하면서 오히려 부산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비난을 많이 받았던 반면, ‘정통파 공무원’인 변 시장대행은 모든 현안을 중립적 시각에서 추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변 시장대행도 ‘초당적 협력’의 중요성을 거듭 밝히고 있다.

그는 29일 <부산일보> 인터뷰에서 “이제부터 부산시는 정치적 중립”이라며 “부산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여야를 가리지 않고 협조를 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가 끝나면 최대한 이른 시일에 부산 국회의원 당선인들과 정책협의회를 가질 것”이라고 했다.

변 시장대행이 ‘실력파’ 경제부시장(박성훈)을 재임용한 데 이어 ‘중도파’ 정무라인 구축을 적극 검토 중인 이유도 경제살리기에 초당적으로 임하겠다는 의지표현으로 풀이된다.

변 시장대행 체제에 더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쪽은 야당인 미래통합당이다. 자유한국당(통합당 전신) 부산시당 위원장을 2번이나 지낸 이헌승 의원은 변 시장대행이 취임하자마자 전화를 걸어 “부산 경제 살리기에 여야가 따로 없다”며 “부산 시정에 적극 협조할 테니 필요한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3선인 이 의원은 21대 국회 전반기 국토교통위원장으로 유력해 부산시 주요 현안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치인이다. 이 의원은 29일 “지금 한가하게 여야를 따질 때가 아니다”며 “여당보다 더 적극적으로 부산 현안을 챙길 것”이라고 했다.

3선인 장제원 의원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코로나 이후, 1년이라는 기간은 부산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시간”이라며 “부산 정치권이 협력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특히 부산시와 민주당·통합당 등에 ‘비상 여·야·정 상설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그는 “시민들에게 한 치의 불안감도 드려서는 안 된다”며 “시장의 공백을 메우고, 위기상황에서 수동적 관리체제를 넘어 시민을 위한 공격적인 결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18년 국회 예산결산위 간사로서 부산시가 대규모의 국비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에 뒤질세라 민주당도 변 시장대행에 대한 총력 지원 방침을 밝혔다. 민주당 부산시당 위원장인 전재수 의원은 이날 “변 시장대행 체제가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해 돕겠다”고 다짐했다. 더욱이 전 의원은 “이번 총선으로 민주당의 위상이 크게 약화된 게 사실”이라면서도 “‘일당백’의 자세로 우리 현역 의원 3명이 역할분담해서 부산경제 살리기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에 따라 21대 국회가 개원되면 곧바로 부산시와 여야 정치권이 두루 참여하는 ‘여·야·정 상설협의체’가 발족할 가능성이 높다. 연말 ‘예산시즌’에 여야 예산협의체가 구성된 적은 있지만 상설협의체가 제대로 역할을 한 적은 없다. 비정치적 시장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태세이다.

이처럼 여야가 부산 경제 살리기에 ‘선의의’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이유는 ‘변성완의 1년’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1년 동안 변 시장대행 체제에 발목을 잡거나 부산경제 살리기를 등한시하는 정당은 내년 4월 부산시장 보궐선거는 물론 그 다음 해 대선에서의 정치적 미래도 불투명해지기 때문이다.

변 시장대행 본인은 물론 여야 부산 정치권 입장에서도 향후 1년은 ‘위기’이면서 동시에 ‘기회’인 셈이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