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기사 명맥 이을 특단 대책 찾아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최근 들어 해기사 수가 급감하면서 한국해기사협회가 ‘해기단절 방지 용역’에 착수했다. 내국인 해기사 감소를 해운업계 전반 ‘위기 시그널’로 인식하고 해기 전승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취지다.

한국해기사협회는 “이르면 6월 중 해기 전승 연구 용역을 마치고 노·사·정·학 ‘해기 전승 상설 협의체’를 구성해 분야별 해기 전승 정책 발표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해기사협회는 지난해 8월부터 7차례 회의를 열어 해기사 감소 대책 마련에 나섰고, 지난해 12월 해기사협회를 포함해 한국선주협회,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 한국해운조합, 해상노련 등 5개 단체가 한국해양대 선원연구센터(이하 연구팀)에 해기 전승 용역 연구를 의뢰했다.

해기사協 ‘해기 단절 방지’ 용역
해기사 수 30년 만에 50% 이상↓
해운업 경쟁력 약화 우려 목소리

지난달 22일 용역 중간결과 보고에 따르면 연구팀은 해기사 수 급감은 해양산업 생태계 붕괴와 국내 내항해운 산업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1987년 7만 4853명에 이르던 해기사 수는 2018년 3만 4751명으로 급감했다. 해기사가 급감하면서 해상과 육상 근무 해기사 수가 비슷해졌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육상 해기사의 직업 단절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진단했다. 연구팀은 “내항해운의 열악한 현실을 고려한 별도의 해기사 공급정책도 필요해 보인다”며 “국내 해기사 부족과 고임금화 때문에 외국인 해기사를 선호하는 추세도 한국 해기 단절 위기 신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장기적으로 학령 인구 감소를 가장 우려했다. 이는 해사고, 해양대 등의 정원 감소로 이어져 외국 해기사보다 경쟁력 높은 해기 인력이 점점 줄어드는 것은 물론 자율운항 선박, 스마트 항만 시스템 등 미래 해운 산업과도 연관돼 해기 인력 경쟁력과 산업 대응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 배후석 교수는 “육상 근무 해기사들의 생산 유발효과는 4조 원, 육·해상 해기 전승 단절의 손실을 따져보면 6조 7000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해기사협회 관계자는 “최종 용역 결과 발표 후 해기 전승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