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아베’, 꽉 막혔던 한·일 관계 숨통 트일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 소회의실에서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함메도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악화일로의 한·일관계가 아베 신조 총리의 사임이라는 돌발변수로 어떤 국면을 맞게 될지 주목된다.

아베 총리는 강제징용 배상판결을 둘러싼 양국 갈등 속에서 강경책을 주도한 데다, 일본 내 혐한 분위기를 등에 업고 의도적으로 한국 때리기에 나섰다. 따라서 ‘포스트 아베’ 시대에는 꽉 막혔던 한·일관계에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수 있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나온다.

靑 “日 새 총리와 협력 증진 지속”
양국 갈등 근본적 변화 없을 수도

누가 새로운 총리가 되더라도 기존의 외교정책을 재점검하고 주변국과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가져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아베 총리 사의 표명 이후 “정부는 새로 선출될 일본 총리 및 새 내각과도 한·일 간 우호 협력관계 증진을 위해 계속해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한 것도 이런 기대가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자민당 집권 체제가 공고한 일본의 정치 구도와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적 여론을 고려하면 근본적인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차기 총리 후보로는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과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등이 거론되지만 외교문제에 있어 딱히 아베와 차별성이 두드러지진 않는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결국 누가 후임이 되더라도 당장 한·일관계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는 게 대체적 시각이다.

특히 일본은 연내 이뤄질 수도 있는 전범기업 자산 매각이 현실화한다면 보복조치에 나설 것을 공언하고 있다. 그렇게 된다면 양국관계는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게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양국 간에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한 제대로 된 논의가 시작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총리 교체를 계기로 한·일 양국이 파국을 막을 해법 찾기가 가능할지 주목된다. 박석호 기자 psh21@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