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전불감증 부산항, 부두 노동자 안전 언제까지 외면하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올해 개항 144주년을 맞은 부산항이 위험하다. 부산항 각 부두에서 매년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잇따라 인명 피해가 생기고 있으며, 국내 항만에 보관 중인 폭발성 위험물질 거의 대부분이 부산에 몰려 있는데도 관리가 허술하기 때문이다. 부산항은 1876년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항으로 개항해 국내 최대 국제무역항으로서 수출입 전진기지 역할을 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이 과정에서 태평양과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관문 기능을 하면서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으로 세계 2위의 환적 항만, 세계 4~6위권 컨테이너 항만으로 성장했다. 이러한 국제적 위상 제고와 항만 운영의 질적 개선을 위해 확실한 안전대책이 절실하다.

잇단 안전사고로 국제 위상 추락 우려
사각지대 해소·위험물 관리 강화 절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부산항만공사(BPA) 관할 부두에서 일어난 안전사고는 2015년 24건, 2016년 12건, 2017년 14건, 2018년 17건, 2019년 19건, 올들어 6월까지 6건으로 해마다 인명 피해를 동반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5년간 부산항의 안전사고는 사망 7건을 포함해 총 92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아 이미지 추락이 걱정된다. 지난 11일 밤에도 부산항 북항 신감만부두 안벽 크레인에서 하역 중이던 컨테이너가 연결된 줄이 풀리는 바람에 바닥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으나, 되풀이돼선 안 될 아찔한 사고가 아닐 수 없다.

부산항 안전사고의 주된 원인은 안전불감증과 하역장비의 노후화에 있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사망자와 부상자가 생긴 사고들을 유심히 보면, 안전수칙 준수나 안전장비 가동을 소홀히 한 데서 비롯된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앞으로도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형태의 항만 안전사고가 빚어질 수 있고, 수많은 부두 노동자의 생명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항만 당국의 안전대책 강화와 부두 운영사들의 시설·장비 개선이 필수적이다. 15일 BPA가 매년 5억 원의 안전사고 예방기금을 조성해 안전 개선에 노력하는 운영사를 지원하는 제도를 도입키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지만 미흡한 측면이 있다.

BPA는 해양수산부와 함께 낡은 항만 시설·장비와 안전 사각지대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에 나서야 한다. 부산항 안전성을 보완·개선할 부분을 파악한 뒤 5만여 항만 노동자의 안전을 제대로 확보하는 깊이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현재 부산항에 보관 중인 7646t의 각종 폭발성 위험물질도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는 국내 전체 항만의 99%나 되는 엄청난 양인 데다 도심과 산업시설 인근에 보관돼 자칫 사고 발생 시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가 우려된다. 위험물 종류별로 관리 주체가 달라 종합적·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해 명확한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이 최근 항만 산업재해 예방을 목적으로 발의한 법안의 국회 통과도 시급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