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 간 협력 통해 ‘해양도시화’ 추구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제14회 세계해양포럼 특별세션1 해양도시 네트워크

28일 특별세션1에서 최상희 KMI 항만연구본부장이 ‘해양수산 미래정책과 항만뉴딜 사업구상’을 주제로 세션 기조 발표를 하고 있다. 정대현 기자 jhyun@

3면이 바다인 대한민국에서 바다를 접한 대도시는 대부분 ‘해양 도시’를 지향한다. 부산 경남 울산 인천 전북 등 11개 지자체가 바다를 기반으로 해양도시를 자임하고 있다. 28일 열린 세계해양포럼(WOF)에서는 해양도시들의 네트워크 형성이 화두에 올랐다. 지자체 각각의 방식으로 해양도시로 나아갈 것이 아니라 협력을 통해 해양도시화를 추구하자는 의미다.

최상희 KMI 항만연구본부장
“디지털 허브로 항만 개발해야”

WOF 특별세션1 ‘해양도시 네트워크-한국형 뉴딜 정책과 해양도시의 대응’에 기조 발제자로 나선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항만연구본부장은 해양도시의 미래를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통합, 연결, 자율화로 꼽았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물류 자원의 공유 산업이 활발해지는 4차산업 혁명 시대에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대응은 도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최 본부장은 “광양항에 테스트베드를 구축한 지능형 컨테이너 포트 건설, 빅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공유산업 등은 해양 도시가 집중해야 할 산업 분야가 될 것”이라며 “해양도시들의 항만은 디지털 허브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세션에 참가한 부산, 울산, 인천, 전북 연구기관 대표자들은 현재 정부 역점 정책인 ‘뉴딜 정책’의 해양수산 분야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해 7월 14일 정부가 발표한 국가 프로젝트인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해양수산 분야에 적용해 그린 뉴딜, 디지털 뉴딜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지 하는 문제가 각 해양도시의 최대 이슈라는 점이 이 세션에서도 확인됐다.

부산연구원 허윤수 해양·관광 연구실장은 “해양 R&D 연구기관, 해양 교육기관 등과의 융·복합을 통해 해양수산 분야는 디지털 뉴딜을 흡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선박수리단지가 그린 선박수리단지가 되고, 부산항 신항 LNG 벙커링 기지도 그린 에너지, 수소 항만기지 중심 기능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개별 도시가 해양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간 협력 필요성도 강조됐다. 인천연구원 강동준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은 “육상에서 발생하는 해양 쓰레기 문제는 모든 연안 지자체가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인 만큼,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해 해양쓰레기 관리 벨트 구축도 가능하다”며 “크루즈 관광의 경우도 해외 기반 크루즈가 많으므로 연안 지자체들이 크루즈 노선 개발 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나정호 전북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해양수산부 뉴딜사업은 해양 도시 간 네트워크가 형성될 경우 경쟁보다는 협력으로 상생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준용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