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 2단계 재개발 협상 완료, 사업 본격화 길 열렸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항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 조감도. 해양수산부 제공

부산항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으로 발생되는 수익이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과 공공시설 등에 재투자된다. 전국 최초로 수용·사용방식을 기본으로 한 사업시행 방식을 채택하고, 시행자가 남은 이익을 원칙적으로 가져갈 수 없도록 했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이하 추진단)은 7일 부산시컨소시엄과 북항 2단계 항만재개발사업의 실시협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최근 완료했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지난해 7월 30일 부산시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구체적인 사업 방안에 대한 협상을 벌여 왔다. 5개월간의 실무협상과 본협상 결과 오는 2030년까지 총 사업 규모 228만㎡에 사업비 4조 4008억 원을 투입하는 안에 잠정 합의했다.

철도·항만·원도심 결합형 개발
부산시컨소시엄-해수부 합의
2030년까지 4조 4008억 투입
개발 이익 원도심 활성화 재투자

2단계 재개발은 부산시컨소시엄 참여기관이 공동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부산시가 대표사를 맡고 부산항만공사(45%), 한국토지주택공사(40%), 부산도시공사(11.7%), 한국철도공사(3.3%)가 공동 출자한다. 도시계획 권한을 가진 부산시가 각 기관의 의견 조정과 각종 인허가, 정부 예산 지원과 관련된 역할을 맡는다.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이 총사업비 정산 방식으로 진행된 것과 달리 2단계 사업은 수용·사용방식으로 진행된다.

정성기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장은 “바다를 매립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1단계 재개발은 사업비를 먼저 투자하고, 토지를 매각한 뒤 수익금을 얻는 방식”이라며 “1단계의 경우 남는 수익이 전액 국고로 귀속되는 형태였다면, 2단계는 시민사회와 정치권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수익을 원도심 기반시설과 공공시설에 재투자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부산역 조차장의 경우 2019년 3월에 마련된 ‘부산역 일원 철도시설 재배치 기본계획’에 따라 시행하기로 했다. 5물양장 등 사업구역 내 해수면 매립은 최소화하기로 합의했다. 매립에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정부 입장에 따라 해수 유동 시뮬레이션 등을 거쳐 수질 개선, 구조물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해 꼭 필요한 곳에 최소 규모로만 매립을 검토한다.

추진단과 부산시컨소시엄은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조사와 사업계획 수립을 마무리하고, 내년에 실시계획 인가를 받는다는 계획이다. 착공은 오는 2023년으로 예상한다. 부산진CY(컨테이너 야적장) 부지의 경우 철도시설 이전이 선행되어야 하는 만큼 내년에 먼저 착공한다는 방침이다.

실시협약에 대한 각 기관의 서명은 예타와 참여기관의 내부 승인 절차를 거친 뒤에 이뤄진다. 정 추진단장은 “철도·항만·원도심 결합형으로 진행되는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이 난제를 극복하고 1차 관문을 통과한 셈”이라며 “2단계 사업구간은 2030엑스포 부지로도 활용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번 협상 완료는 엑스포 유치에 힘을 싣는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자영 기자 2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