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 활력 떨어진 도시에서 창업하기 좋은 부산으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이 10년 이내로 인천에 제2 도시 위상을 뺏길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가 13일 경제 활력도 척도로 사용되는 지표인 ‘지역별 사업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10년간 부산의 사업자 수 연평균 증가율(2009~2019년)은 3.1%로 전국 17개 지자체 중에서 15위로 집계됐다. 현재 추세라면 인천이 2030년에 제2 도시 부산을 추월하게 된다는 예측이다. 더욱 걱정스러운 점은 부산의 신규 사업자 수는 계속 주는 데 반해 폐업자 수는 급속히 늘어 두 도시 간 ‘역전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는 우려다.

지역별 사업자 수는 지역총생산(GRDP)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줘 2009년 5조 원 이상 차이를 보였던 부산과 인천의 GRDP는 2019년 인천이 87조 6715억 원으로 부산의 88조 7298억 원과 비교해 1조 원 정도로 격차가 크게 줄었다. GRDP가 역전되면 부산의 한국 제2 도시 위상은 인천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는 체감 경기 회복에도 그대로 반영돼 올해 2분기 부산의 제조업 경기전망 지수(기준치 100)는 81로 서울(114), 인천(102), 대구(110), 울산(102), 대전(115), 광주(117)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산 지역 경제가 고사 직전이라는 말은 끊임없이 나왔다. 하지만 정부와 부산시는 ‘언 발에 오줌 누기’식 찔끔 처방 외에 산업구조 고도화 등 구조적인 정책을 펼친 것이 없다. 그 결과 지역 경제를 지탱하던 조선과 자동차, 철강 부품 산업 생태계가 무너져 산업 현장과 도심 상가에는 찬바람만 불고 있다. 이는 지역 일자리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 가속화, 지역의 활력 감소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수도권 중심으로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IT 등 신성장 4차 산업의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부산만 그런 현실에서 소외되고 있다.

지금은 위기의 끝이 아니라 서막에 불과하다. 획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흐름이 역전되지 않는다면 국가 경제의 한 축인 부산은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질지도 모른다. 지역 기업 스스로의 혁신과 적극적인 투자가 가장 우선이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함께, 부산시와 정치권, 대학도 힘을 합쳐서 도시 경제 살리기에 나서야 한다. 부산에서 쉽게 창업하고,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긴급 처방에서부터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신성장 업종 육성, 기업 유치 등 중·장기 대책 수립과 신속한 실행이 필요하다. 부산의 미래를 되찾기 위해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