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다자무대 복귀한 미국, ‘중국 견제’ 시험대 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영국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취임 후 첫 대면 다자무대에서 데뷔전을 치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대중 견제 전선 구축에 적극 나섰다. 하지만 일부 정상들이 노골적인 반중 블록 형성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어 G7이 미국의 대중압박 요구에 얼마만큼 부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이 돌아왔다’고 밝힌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미·중 간 일대일 대결을 펼치는 구도를 펼쳤던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미국 우선주의를 폐기하고 동맹 복원과 다자주의를 통해 중국을 겨냥한 포위망 구축 행보를 강화했다.

영국 G7 정상회의 참석 바이든
백신 기부 주도하며 성공적 데뷔
반중 블록 형성에도 적극 행보
일부 국가 이견 극복할지 관심

실제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0일 영국에서 한 기자회견을 통해 전염병 대유행 극복을 위해 5억 회 접종분의 화이자 백신 기부 계획을 발표하며 G7 국가들의 10억 회 접종분 제공 구상을 이끌어냈다. 백악관이 합의했다고 밝힌 G7의 글로벌 인프라 투자 구상인 ‘더 나은 세계 재건(Build Back Better World·B3W)’ 출범도 마찬가지다. B3W는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에 대응해 G7이 협력하기로 한 것으로, G7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대안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신장 위구르족과 소수민족을 겨냥한 중국의 강제노동 관행에 대해 공개적으로 규탄하는 내용을 공동성명에 반영할 것을 촉구하는 등 인권을 중심으로 한 대중 공세도 강화했다.

일단 G7의 다른 국가들은 중국 견제라는 큰 틀에 동의하며 미국의 생각에 보조를 맞추는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세부 사안에 있어서는 국가간 온도 차가 뚜렷하다는 것이 외신들의 분석이다.

중국의 강제노동 관행을 규탄하자는 바이든 대통령의 요구가 대표적인 사례다. AP통신은 일부 유럽 국가가 중국과 분열을 우려해 주저한다며 G7 정상이 이런 조처를 할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B3W에 대해 정확히 어떻게 작동하고, 궁극적으로 얼마나 많은 투자가 이뤄질지는 당장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대중 강경일변도로 나가는 것이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국가들이 여전하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는 “바이든 대통령은 G7이 중국에 대해 더욱 강경한 노선을 취하라고 요청하지만 모든 동맹이 열광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연간 수백만 대의 자동차를 중국에 수출하는 독일, 중국의 이웃이자 교역 상대국인 일본, 일대일로에 동참한 이탈리아를 예로 들었다.

CNN은 중국 대응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놓고 정상들 사이에 심각한 간극이 감지됐다고 전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도 중국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포괄적인 대응 방안이 도출될 수 있을지 아직 불분명하다고 보도하면서 독일과 이탈리아, EU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고 당국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G7이 중국의 영향력에 대응하려는 미국의 강한 압력에 옥신각신한다”며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에 좀 더 매파적인 자세를 취하려 하지만 일부 다른 정상은 G7이 노골적인 반중 블록으로 비칠 위험성을 경계한다”고 말했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일부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