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취수원 이전, 이번에는 수돗물 걱정 더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환경부가 지난해 마련한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에 따라 부산의 숙원인 물 문제가 해결될 것인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지난 15일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정책심의위원회를 통과한 이 방안은 오는 24일 낙동강유역물관리위 심의·의결을 앞두고 있다. 대체 취수원으로 거론된 곳은 합천군 합천창녕보 아래쪽 황강(45만t)과 창녕의 강변여과수(45만t)이다. 이곳에서 하루 90만t의 물을 퍼 올려 창원·김해·양산·함안 등 경남 중동부 도민에게 48만t을 공급하고, 나머지 42만t은 부산 시민에 공급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부산은 수질 문제를 겪는 낙동강 원수 의존에서 벗어나면서 1991년 3월 낙동강 페놀 사고 이후 무려 30년 만에 안전한 물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원수 대체할 부산 식수원 가시화
지역 상생·통합으로 갈등 넘어야

관건은 지역사회와의 합의이다. 그동안 대체 취수원 개발 지역으로 지목된 창녕은 물론 합천에선 의회까지 나서 재산 피해와 농업용수 부족을 우려하며 중동부 경남과 부산 물 공급에 반대했다. 그나마 최근 상생협력 지원 방안 등이 구체화하면서 현지 분위기가 다소 누그러진 듯하지만 완전히 돌아선 것은 아니다. 그런 만큼 취수원 추가 개발에 따른 해당 지역 주민의 토지이용 제한이라든지 갈수기 등 비상시 최우선 예방 등 지역 상생 방안 마련과 실행에 관계 기관 모두가 머리를 맞댈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부울경이 동남권 메가시티를 지향하면서 정치적인 환경도 무르익고 있어서 이번 물 문제 해결이 좋은 실마리가 되길 바란다.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외에도 낙동강 원류 수질 개선 노력을 결코 포기해선 안 된다. 환경단체가 주장하듯 “낙동강 수질 개선의 핵심 중 하나인 보 해체 방안 없이 취수원을 이전하는 건 낙동강 포기 정책과 다름없다”는 우려가 현실이 되게 해선 안 된다. 부산만 하더라도 낙동강 본류 상수원 의존율이 88%에 이른다. 당장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 방안으로 제시한 구미 공공하수처리장과 대구 성서산단 공공폐수처리시설 대상 고도 처리, 비점오염원과 가축분뇨 관리 등의 내용도 먹는 물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엔 한계가 있다. 수질오염 사고 등 비상시 수질 악화에 대응하는 방안도 절실한 상황이다. 물 다변화 방안이 병행 추진되어야 한다.

너무나 당연한 말 같지만 국민 누구나 깨끗한 물을 마실 권리가 있고, 정부는 당연히 그런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의무가 있다. 오랫동안 반복된 낙동강 물 문제가 이번엔 반드시 합의점을 찾길 기대한다. 오는 24일 의결 후에 총리실 주재 범부처 TF가 구성되면 영향 지역 지원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2022년 12월까지 사전타당성 검토와 예비타당성조사를 순차적으로 마무리하더라도 수질 개선 분야가 2025년, 취수원 다변화는 2028년이 되어야 한다. 수량·수질 통합은 말할 것도 없고, 갈등 지역 상생과 통합 차원에서 추진되는 이번 대책에 거는 기대가 크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