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푸틴, 핵 위협 감소·경색 국면 타개엔 뜻 모았지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의 빌라 라 그렁주에서 회담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냉전 이후 최악’이라는 평을 받으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이뤄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은 일부 공감대를 확인하고 막을 내렸다.

두 정상, ‘핵 안정’ 공동 성명
2026년 종료될 무기감축협정
대체할 협상도 곧 시작하기로
양국 대사들 부임지 복귀 결정
인권·사이버 공격 등엔 ‘이견’
주요 외신, 관계 개선 ‘회의적’

양국 정상은 16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첫 정상회담을 갖고 핵전쟁 위협 감소 등을 위한 전략적 안정성에 관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특히 미국과 러시아는 2026년 종료되는 양국 간 유일한 핵통제 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을 대체하기 위한 핵 협상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들은 또 경색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양국 주재 대사들을 부임지에 다시 복귀시키기로 합의했다. 푸틴 대통령은 양국 대사의 복귀뿐만 아니라 영사관 폐쇄를 비롯한 외교관계 갈등을 해소할 협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권을 비롯한 사이버 공격, 우크라이나 등 첨예하게 대립 중인 현안에 대해서는 접점을 찾는 데 실패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푸틴의 정적이자 대표적인 야권 인사 알렉세이 나발니를 언급하면서 “나발니가 죽으면 러시아에 해외투자 차단, 국제공조 배제와 같은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나발니 체포가 합당하다며 미국에 내정간섭을 자제하고 자국 문제나 신경 쓰라는 식으로 대응했다.

최근 미국의 공공기관과 산업 기간시설들을 겨냥한 해커들의 공격에 대해서는 심각성에 일부 공감했으나 돌파구는 나오지 않았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란핵합의에 대해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일부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우크라이나 등 지정학적 이해관계가 달린 의제에서는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됐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내전 중인 시리아에 인도주의 물자가 들어가는 통로를 막지 말라고 주문했지만 푸틴 대통령은 이를 거부해 어떤 합의도 도출되지 않았다.

사정이 이렇자 주요 외신들은 다소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번 정상회담이 양국 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는 평가다.

NYT는 이날 “푸틴과 바이든이 정상회담에서 소득이 있었다고 언급했지만, 사이버 공격과 인권 등의 현안에서 이견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AP 통신은 “바이든과 푸틴이 정상회담 뒤 양국관계에서 ‘재설정’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다”며 이번 회담을 통한 양국관계 개선에 한계가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미국 정치전문 매체 더힐도 회담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서방의 제재에도 사이버 공간에서 점점 공격적이고 대담해지는 러시아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지는 불분명하다”고 전망했다. CNN 방송은 이번 정상회담 성과와 관련해 “미국과 러시아 관계는 전과 거의 같은 것처럼 보였다”는 총평을 내놓기도 했다. 러시아 언론 타스 통신도 전문가를 인용해 정상회담이 양국 관계의 돌파구가 되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영국 BBC 방송 역시 바이든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진전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중국 관영매체들은 “(이번 정상회담이) 양국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회담의 의미를 애써 축소했다. 특히 미국이 중국을 봉쇄하기 위해 러시아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 관계를 고려할 때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일부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