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관광 랜드마크 기대” vs “자연경관 훼손·교통 체증”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찬반 갈등 쟁점은

부산 해운대~이기대 해상 관광 케이블카를 둘러싼 첨예한 찬반 갈등은 접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업체를 비롯한 찬성 측은 관광 랜드마크로 인한 생산유발효과와 공적기여를 통한 시민 편익을 자신한다. 반면 반대 측은 해상 케이블카 때문에 교통 체증, 자연경관 훼손, 사생활 침해 등을 주장한다. 이와 관련한 쟁점들을 짚어본다.


찬성 측은 ‘관광 활성화’ 강조
“30년간 12조 생산유발효과”
매년 30억 기부 제안도 내놓아
반대 측은 ‘교통·환경’ 우려
“공공재를 사유화해선 안 돼”
인근 주민 사생활 침해 문제도


■“부산 상징할 랜드마크 될 것”

사업자인 (주)부산블루코스트가 부산시에 제출한 제안서에 따르면 해운대와 이기대를 잇는 해상 케이블카는 4.2km로 국내 최장 규모다. 세계적으로도 손에 꼽힐 정도로 대규모의 케이블카다. 사업비로 따져봐도 부산 송도 해상 케이블카(665억 원)의 10배에 육박하는 6091억 원이 투입된다.

부산지역 관광·마이스업계는 해운대~이기대 해상 케이블카가 단순한 여가·문화시설이 아닌, 부산을 대표할 관광 랜드마크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영산대 호텔관광학부 오창호 교수는 “미래 관광 트렌드는 과거 패키지 여행에서 주로 다뤘던 ‘루트형 관광’이 아니라 하나의 키워드를 주목하는 ‘키워드형 관광’이 될 것”이라며 “해양도시, 관광도시를 주창하지만 ‘오션뷰 카페’ 말고는 바다를 활용한 관광 키워드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해상 케이블카를 제대로 브랜딩하면 세계인에게 부산을 각인시킬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업자 측은 외국인 관광객을 포함해 매년 365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할 것이라고 자신한다. 관광 활성화, 건설 투자 등을 포함해 30년간 12조 3533억 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생산유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점도 강조한다.

시민·환경단체의 우려를 감안해 2016년 1차 제안 때와는 달리 철저한 보완책을 마련했다고도 밝혔다. 해운대 일대 주차난을 덜기 위해 5년 전보다 배가량 늘어난 1972면의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승강장 인근 도로를 확장하겠다는 것이다. 해상 케이블카 매출액의 3%인 매년 약 30억 원을 다양한 방법으로 기부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주)부산블루코스트 관계자는 “손익분기점을 넘기려면 20년이 걸릴 정도로 장기적 관점에서 부산의 미래를 보고 하는 투자”라며 “부산시가 전달할 의견을 계획서에 수정·보완해 사업이 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교통·환경 저해할 흉물 된다”

해상 케이블카 탓에 정작 부산시민들 삶의 질이 저하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먼저 교통 혼잡 증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그렇지 않아도 상습 교통 정체 구간인 해운대와 용호동 일대의 교통이 불어난 관광객들로 인해 마비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부산시 내부에서도 교통 혼잡 문제를 가장 심각한 갈등 요소로 본다.

자연경관 훼손에 대한 지적도 만만치 않다. 광안리 바닷가를 끼고 있는 수영구가 최근 경관 훼손에 크게 반발한다. 강성태 수영구청장은 “광안리 해변과 광안대교가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경관 훼손은 안 된다”며 “광안리 앞바다에 거대 구조물의 기둥 3개를 박는 것은 일제강점기 시대 명당자리에 대못을 박는 행위와 다르지 않다”며 비판했다.

지역 환경단체 역시 반대 목소리를 높인다. 부산환경회의는 “특정 민간기업이 공공재를 사유화하고 이익을 추구하는 행태가 더 이상 허용돼서는 안 된다”며 “해양 생태계 파괴, 난개발 우려, 돌풍·태풍에 대한 안전성 문제 등이 있고, 업체가 주장하는 생산유발효과 등은 장밋빛 환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해상 케이블카가 운행할 때 해운대 마린시티 등 일부 고층 아파트들 내부가 케이블카에 탑승한 관광객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사생활 침해 문제도 끊임없이 불거지고 있다. 사업자 측이 해당 구간을 지날 때 자동창문흐림장치를 설치해 아파트 입주민들의 사생활을 보호한다고 하지만, 주민들의 반대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케이블카 자체의 신선함이나 매력이 예전만 하지 못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2008년 통영 케이블카의 대박 흥행 이후 전국 지자체가 너나없이 케이블카를 유치해 이미 포화 상태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케이블카 완공 시점인 2026년에는 관광 킬러 콘텐츠로서의 역할 수행이 더욱 어려워질 텐데 부산시가 굳이 논란을 무릅쓰고 케이블카 건설을 강하게 밀어붙일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