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선박 시대… 조선해양 산업 측면 뒷받침할 것”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부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장

“요즘 전 세계가 디지털 기반 4차 산업혁명 기술개발과 탄소중립을 대비한 기술혁신을 경쟁적으로 추진하는 등 ‘탈탄소, 친환경, 디지털화, 자율운항선박, 친환경선박’ 등이 선박(조선)해양 분야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우리 연구소는 이러한 ‘탈탄소·디지털화’ 등 국제해사환경 변화에 주목하면서 조선해양 분야에서 산업적 측면을 계속해서 선도해 나가겠습니다.”

김부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소장은 지난 9일 집무실에서 와 가진 인터뷰에서 “KRISO가 탈탄소, 디지털화, 자율운항선박 등 관련 원천기술 개발에 적극 기여함으로써 우리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이 세계 선두를 계속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탈탄소·디지털·자율운항이 최대 화두
국제해사 환경 변화에 선도 역할 자임
“선박·해양플랜트 원천·실용기술 개발
부산에선 중소 조선소 기술 지원 펼쳐”


KRISO는 국내 유일의 선박해양플랜트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대전시 유성구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소재하고 있다. KRISO는 친환경·자율운항 선박, 해양플랜트, 해양에너지, 해양안전·환경 및 해양시스템 분야 등 다양한 연구개발을 수행 중이이다. 특히 선형시험수조, 심해공학수조,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빙해수조 등 연구시설과 우수 연구인력을 기반으로 선박해양플랜트 분야 원천·실용화 기술개발을 꾸준하게 진행해오고 있다.

김 소장은 “우리나라 조선해양산업이 성장동력 부재 등으로 중국에 세계 1위 자리를 내줄뻔한 상황에서 ‘4차 산업혁명과 탈탄소, 디지털’이라는 화두가 만들어졌다”며 “자율운항 선박,친환경 선박, LNG(액화천연가스)추진선, 무탄소 선박, 수소 추진선 등 새로운 선박이 나오고 새로운 시장이 열리면서 우리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이 중국을 따돌리고 지속적으로 세계를 선도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발맞춰 KRISO는 관련 조직을 신설했고, 다부처사업인 총사업비 2540억 원의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 사업’도 지난 6월에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했다”고 소개했다.

KRISO의 적극 참여 속에 다부처사업으로 기획된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사업’은 내년부터 향후 10년간 총사업비 2540억이 투입되는 사업으로, 수소선박 등 실증선박 개발 기획도 포함돼 있다.

김 소장은 “이번에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 사업’이 예타를 통과함에 따라, 추후 친환경 관련한 연구개발 사례가 국내에 더욱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특히 연안선박 규모에서 신뢰성과 안전성을 실증한 후 중대형 선박으로 확산 적용되는 친환경선박 기술 특성을 고려해 대형선박 중심의 부산·울산·경남과 연안선박 산업 및 실증항로 중심의 전남 지역을 함께 고려한 국가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사업’은 아무래도 부울경쪽이 중심이 되지 않을까 한다”며 “지금은 부산,경남, 목포 등 지자체별로 어떻게 컨소시엄을 구성할 것인지 등을 고민하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현재, KRISO는 탈탄소, 디지털화와 관련해 경남 거제와 고성, 부산 등에 지역거점 연구센터를 두고 각 센터별로 중점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 소장은 “디지털화와 관련해서는 울산시(고늘지구)에 작년부터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를 구축 중이며, 내년 완공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산에는 심해공학연구센터가 있어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공학수조인 ‘심해공학수조’를 활용한 각종 해양플랜트의 시험평가 및 설계·안전성 평가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심해공학수조는 최대 수심 3000m의 심해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파도, 조류, 바람 등 실제 해양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첨단 환경재현설비와 연구 장비도 갖추고 있다.

김 소장은 “부산에서는 심해공학연구센터 외에도 2018년도부터 산업부·부산시와 공동으로 중형선박설계사업단을 꾸려 중소조선소와 선박설계기업을 위한 기술지원도 펼치고 있다”며 “특히, 올해는 중소형 친환경 선박 기술 지원에 중점을 두고 연료절감을 위한 선형개발 및 저탄소 연료 이용 선박의 성능향상 등 그동안 더디었던 중소형 선박에서의 친환경 기술 접목을 이끌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