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균의 세상 터치] 가덕신공항·부산엑스포에 국가 역량 모으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30년 4월 30일 부산 가덕도 부산국제공항(가덕신공항). 항공기들이 1분 30초 간격으로 쉴 새 없이 뜨고 내리면서 활주로가 크게 붐볐다. 입국장과 대합실은 온종일 세계 각국에서 온 외국인들로 발 디딜 틈이 없을 만큼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들은 다음 날부터 10월 31일까지 6개월 동안 부산 북항 재개발사업지에서 열리는 2030부산월드엑스포(세계박람회)를 찾은 참가국 관계자와 바이어, 관광객이다.

부산엑스포가 끝나자 가덕신공항 활주로 증설과 청사 확장을 촉구하는 여론이 대두됐다. 활주로가 하나뿐인 신공항의 슬롯(SLOT·시간당 항공기 이착륙 횟수)이 위험 수준인 50회에 달하며 포화 현상을 보여서다. 미국과 유럽 등지 세계 주요 도시들과 부산을 직항으로 잇는 장거리 정기 국제노선이 잇따라 개설된 데다 신규 취항 요청이 이어진 까닭이다.

2029년 문을 연 가덕신공항의 원활한 손님맞이에 힘입어 부산엑스포는 성황리에 치러졌다. 200개국에서 5050만 명이나 방문했다. 이후 부산은 연간 10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몰리는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떠오른다. 해양수산·금융·IT·항공산업이 발달한 비즈니스 중심의 국제도시로도 명성이 높아졌다. 2031년 말 부산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도시’ 조사에서 1위에 올랐다.’

신공항 일정 앞당겨 조기 건설해야
부울경 도약·산업 발전에 큰 도움
부산엑스포 지역 넘어 국가적 경사
부유한 국제도시로 성장하는 계기
두 사업 국토균형발전 촉진 가능
부산시·정부 사활 건 성사 노력 필요

이는 2030년대 초 부산의 밝은 미래상. 지난 5월 말 착수한 가덕신공항 사전타당성조사와 이달 부산월드엑스포 유치위원회 창립을 계기로 상상해 봤다. 이처럼 가덕신공항과 부산엑스포는 지역의 재도약에 필수적이다. 지방소멸을 가속화하는 수도권 일극 체제의 폐단을 종식하고 동남권 경제 활성화와 국토균형발전을 꾀하는 기폭제가 돼 국가경쟁력을 한층 높일 사업이다. ‘차질 없는 신공항 조성’과 ‘엑스포 유치 성공’은 부산시와 정부가 사활을 걸고 노력해 꼭 성취해야 하는 대명제가 아닐 수 없다.

가덕신공항 건설의 당위성은 차고 넘친다. 350만 부산시민은 29년간 신공항 필요성을 호소하느라 입이 아플 정도다. 안전하고 24시간 가동되는 공항 확보, 급증하는 공항 이용객과 국제선 증설 요구 해결, 남부권 사람들이 인천공항을 이용하면서 겪는 시간·경제적 손실 해소 등이다. 가덕신공항이 생기면 인근 부산신항과 철도·고속도로 교통망을 연계한 트라이포트(Tri-port)가 구축돼 부산과 우리나라를 국제 복합물류 중심지로 키울 수 있다. 부산·울산·경남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원동력이 될 게 확실하다. 가덕신공항이 800만 부울경 주민과 해양수산 업계의 염원으로 확대된 이유다.

국제박람회기구(BIE)가 5년마다 주관하는 월드엑스포는 경제·문화 분야 올림픽이다. 각종 행사 수익과 경제적 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 부산엑스포는 무려 43조 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부가가치와 취업 유발 효과도 각각 18조 원, 50만 명으로 추산된다. 2010년 중국 상하이, 2015년 이탈리아 밀라노는 이 행사를 통해 각각 세계적인 비즈니스 도시와 관광 명소로 거듭나고 국가 위상을 높였다. 부산이 유치할 경우 한국은 세계 12번째, 아시아 4번째 개최국이 된다. 부산뿐 아니라 나라의 경사가 되는 셈이다.

현재 가덕신공항 사업은 사전타당성조사 단계에 있다. 정부가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고 기본계획 수립과 기본·실시설계를 앞당겨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일이다. 2029년 완공 가능한 계획은 부산엑스포 유치 성공과도 직결된다. 하지만 인천공항이나 수도권 중심주의에 젖은 세력이 가덕신공항을 탐탁지 않게 여겨 변수다. 선거 정국을 악용해 어떤 몽니를 부릴지 걱정이 앞선다. 국민 모두 가덕신공항은 국토균형발전 촉진을 위해 특별법으로 진행하는 국책사업이란 걸 명심해 조기 건설에 힘을 모아야 마땅하다.

2019년 국가사업으로 확정된 부산엑스포는 제반 여건이 미비된 탓에 지난달에야 유치신청서를 낼 수 있었다. 내년 BIE의 현지 실사와 2023년 11월 개최지 선정까지 시간이 촉박하다. 엑스포 마스터플랜 수립과 관련법 제정, 기준에 맞는 행사장 부지 확보 같은 산적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국가적 지원과 협조가 절실하다. 무엇보다 BIE 169개 회원국의 찬성표를 얻기 위한 밀착 홍보를 포함한 유치 운동에 사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유치위원회가 정부기관과 국내외 모든 한국인의 능력을 동원해 총력전을 펼칠 때다.

부산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두 사업은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과 지방분권 실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침체와 인구 감소로 활력을 잃은 부울경과 코로나19 사태로 위기에 빠진 국가의 미래에 희망을 안겨 줄 프로젝트다. 이 두 마리 토끼를 잘 잡기 위해 국가 역량을 모으는 것이 시대의 요구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테다. 논설위원 kb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