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 잭팟’ 조선 빅3, 상반기에만 조 단위 적자 ‘냉가슴’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코로나19 파고를 넘어 ‘슈퍼사이클(장기호황)’에 진입한 한국 조선 빅3가 연이은 ‘수주 잭팟’에도 좀처럼 웃지 못하고 있다. 상반기에만 조 단위 적자를 기록한 탓이다.

강재 가격 폭등에 원가 급상승
손실 충당금 먼저 반영도 원인

삼성중공업은 2021년 2분기 잠정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매출 1조 7155억 원에 영업이익은 4379억 원의 적자를 냈다고 1일 밝혔다. 1분기 적자(5068억 원)까지 합치면 상반기 적자 규모는 9447억 원으로 늘어난다. 주요인은 강재 가격 인상에 따른 생산 원가 상승이다. 주요 철강사들은 철광석, 연료탄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선박용 후판(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 소비 증가 등을 이유로 강재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올 상반기 t당 10만 원 인상한 철강사들은 하반기 40만 원을 더 올린 t당 115만 원을 요구한다. 작년의 2배에 가까운 단가다.

건조 비용의 20%에 달하는 후판 가격 상승 폭이 예상치를 크게 웃돌면서 수익성이 악화했다. 조선사들은 예정 원가 변화가 예상되자 수주잔량 점검 후 예상 손실에 대해 보수적으로 공사손실충당금을 설정했다. 삼성중공업은 2분기 3720억 원 상당을 반영했다. 현대중공업도 8960억 원을 충당금으로 잡았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3300억 원 상당을 선 반영할 예정이다. 조선 3사를 통틀어 최소 1조 6000억 원의 이상의 적자가 불가피한 셈이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최악의 수주 가뭄을 겪었던 조선업계는 하반기 주력 선종인 고부가 LNG 운반선 발주가 재개되며 반등에 성공했다. 특히 올 상반기 2402만 CGT의 신조선 물량이 쏟아졌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824만 CGT보다 192%나 증가한 것으로 2014년 이후 7년 만에 나온 최고치다. 이 중 한국이 1047만 CGT(260척, 44%), 중국이 1059만 CGT(389척, 44%)를 쓸어 담았다. 전망도 밝다. 한국 조선의 주력 선종인 LNG 운반선이 환경규제, 선대 교체 수요 덕분에 연간 60척 이상 견조한 발주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는 내다봤다.

관건은 가격 경쟁력이다. 현재로선 생산 원가와 선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신바람 내며 수주한 것들이 자칫 손실로 돌아올 수도 있다는 의미다. 게다가 향후 수주전에서도 경쟁국인 중국에 비해 기술·품질에서 앞선다 해도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조선사들은 이미 충분한 수주 잔량을 확보한 만큼 수익성 중심의 선별 수주에 집중해 하반기 실적을 개선한다는 전략이다.

동남권에 산재한 중소 기자재업체들도 좌불안석이다. 원청이 손실을 메우려 납품 단가를 깎을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감을 확보하려 저가로 수주한 선박은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향후 철광석 가격이 안정을 되찾고, 올해 수주한 선박 매출 비중이 커지면 실적 개선 속도도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민진 기자 mjki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