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지만 떠나야 하는… 부산 MZ세대 품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MZ’가 시대적 화두다. 부산 인구 3명 중 1명이 MZ세대다. 이들의 영향력은 전방위적이다. 하지만 생존에 대한 고민도 깊다. 많은 부산의 MZ가 개인적 성취를 위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다. 떠나는 발길을 어떻게 붙잡을 수 있을까. 그들을 품지 못하면 부산의 미래도 없다. 부산역 대합실에서 열차를 기다리는 한 청년. 김경현 기자 view@

청춘을 일컫는 키워드는 시대마다 변했다. ‘아프니까 청춘’이던 젊은이들은 ‘90년생이 온다’를 통해 MZ세대로 불리며 사회 전면에 등장했다. 새로운 시대에 대한 갈망은 MZ에 대한 기대로 모아졌다. 헌정 사상 최초로 30대 유력 야당 대표가 탄생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밀레니얼(Millennial) 세대와 Z세대를 합친 MZ세대는 흔히 1980~2005년에 태어난 젊은 층을 말한다. ‘2030’과 ‘청년’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하지만 MZ세대는 단순한 세대 구분을 넘어 경제와 문화, 사회 분야의 ‘예비 주도 세력’이다. 이 때문에 이들의 영향력은 전방위적이다. 정치권 세대교체, 2030 투자 열풍, 문화 플랫폼 활성화, 젠더 감수성 확대와 갈등, 인터넷 소비문화. 변화와 논란의 중심에 그들이 있다.


치열한 생존경쟁 치르며 성장
자기애 성향과 성취 욕구 강해
사회 전반 ‘예비 주도 세력’ 부상
‘일자리 부족’ 냉엄한 현실 앞
서울·수도권으로 탈출 이어져
창업 공간 등 꿈 펼칠 터전 갖춰야
MZ세대의 중심적 성향은 한마디로 ‘개인주의’와 ‘개성’이다. 1960년대에 태어나 1980년대에 대학에 다니며 민주화 투쟁에 앞장섰던 386세대 부모와는 확연히 차이 난다. 집단에서 개인으로 옮겨갔다. 전례 없는 일자리 부족과 취업·경제난의 영향이 적지 않다. 경제 성장기를 거쳐 민주화를 쟁취했던 시대를 지나 그들의 관심은 개인으로 수렴됐다.

사회에 나아가기 위해 무언가 갖기는 힘들고, 잃기는 쉬운 현실은 MZ세대에게 숙명처럼 여겨진다. 국가적 어젠다보다는 생존을 위한 방어기제로 개인이 자리 잡은 셈이다. 차재권 부경대 지방분권발전연구소장은 “풍족한 시대를 지나 경제적으로 계층이 확고해진 386세대 부모 아래에서 IMF 사태, 금융위기 등을 직접 지켜본 MZ세대는 어느 때보다 치열한 경쟁시대에 직면했다”며 “학창시절을 거쳐 사회에 뛰어들면서 겪어야 하는 생존경쟁이 개인주의와 실리 추구 성향으로 발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차 교수는 “결국 그들을 둘러싼 시대적 흐름이 MZ를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MZ세대는 개인적 성취욕도 높다. 부산의 MZ세대가 일자리를 찾아 서울·수도권으로 떠나는 이유다. 부산의 MZ세대는 ‘고향’을 떠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면서도 지역적 조건이 부산을 떠날 수밖에 없게 만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부산의 MZ세대는 수도권 MZ세대와 다른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거대 담론이나 국가적 어젠다에서 더 멀어진다. 현실과 맞닿은 경제적인 이슈 즉, 부산 일자리와 청년 분야에 특히 관심이 많다. 서울·수도권 MZ세대는 네거티브, 정치적 이슈에 특히 반응을 보인다. ‘노인과 바다’로 불릴 정도로 심각한 인구 감소, 일자리 부족 등 부산의 위상 추락이 부산 MZ세대를 분화시킨 것이다.

부산의 MZ세대는 104만 9937명(올 7월 기준)이다. 부산시민 3명 중 1명이 해당되는 셈이다. 올 초 부산시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대체로 부산의 생활 여건에 대해 긍정적(66%)이었다. 부산시가 중점적으로 추진할 정책으로 '일자리·경제(66.6%)'를 꼽았다.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 부산을 떠난 청년 인구만 20만 명이 넘는다. 블랙홀 같은 수도권은 7만 명의 부산 인구를 빨아들였다. 부산은 MZ세대의 생활 터전으로 변모해야 한다. 다니고 싶은 일자리, 꿈을 펼칠 창업 공간, 즐길 수 있는 문화 인프라 등이 절실하다. MZ세대가 떠난 부산은 더 이상 ‘제2의 도시’가 될 수 없다. 부산은 그들을 품어야 한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