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정은 “통신선 복원”, 이젠 남북 대화 나설 차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29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10월 초부터 남북통신연락선을 복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남북통신연락선은 지난해 6월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끊어진 이후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다. 연락선 자체는 올 7월 27일 전격 복원됐으나, 북측이 한미연합훈련을 문제 삼으면서 8월 10일부터 남측의 통화 시도에 응답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그런 연락선을 복원하겠다는 김 위원장의 말은 결국 남북 사이 교착 상태를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연락선 복원에 대해 김 위원장 스스로 “민족의 기대와 염원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명시한 점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남북관계의 교착 상태 해소 의지 표현
한반도 평화 정착 기회 놓치지 말아야

근래 남한과 북한 사이에는 상당히 유화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UN 총회 연설에서 종전선언을 제안했고, 이에 대해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담화를 통해서 종전선언은 물론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재설치와 남북정상회담까지 남북관계 개선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호응하는 모습을 보인 점에서 그렇다. 문제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그런 긍정적인 신호들을 한데 모아 논의하고 현실화하기 위해 꼭 필요한 대화 통로가 막혀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번에 김 위원장이 직접 나서 남북관계 개선의 최우선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연락선 복원 의사를 표명함에 따라 꽉 막힌 남북관계 개선의 물꼬는 트인 셈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전망을 마냥 낙관하기는 힘들다. 김 위원장이 비록 연락선 복원 의지는 밝혔으나 단순한 연락선 복원을 넘는 남북관계의 진전에 대해서는 남측의 태도에 달려 있다는 전제조건을 달았다는 점에서 그렇다. 김 위원장은 또 자신들의 무기 시험 등에 대한 우리 당국의 부정적 인식과 한미훈련, 군비 증강에 대한 불만도 토로했다. 우리로선 수용하기 쉽지 않은 사안들이라 북한 당국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설득할지 고민해야 할 대목이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부와 여당이 소위 ‘북풍’을 이용해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한다는 야권의 비판과 또다시 북한의 기만전술에 당하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도 불식해야 한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발언으로 남북이 다시 소통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을 갖게 된 점은 분명하다. 연락선 복원이 남한과 북한 사이 본격적인 교류·협력을 위한 대화의 마중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남북 관계의 경색 국면에선 큰 의미가 있다. 현재 남북 간에는 풀어야 할 사안이 산적해 있다. 앞으로 원활하게 일이 진행된다면 남북 당국 간 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남북정상회담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나아가 우리 정부가 북·미관계의 중재자 역할을 통해 종전선언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부디 어렵게 찾아온 기회를 충분히 살려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기틀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