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통신연락선 복원, 남북 대화 끊어져선 안 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끊어졌던 남북통신연락선이 4일 오전 복원됐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분부터 2분 동안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개시 통화가 이뤄졌다. 남북은 관행대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채널을 통해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에 정기적으로 통화하고, 사안이 생기면 수시로 통화하기로 합의했다. 같은 시각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해서도 남북 간에 정상적인 통화가 진행됐다는 소식이다. 남북 연락선 복원은 대북전단 살포에 북한이 반발해 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끊은 2020년 6월 9일 이후 1년 4개월 만이다. 긴급 상황을 관리할 최소한의 소통 창구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나아가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향한 실질적 논의를 이어 나갈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4일, 1년 4개월 만에 소통 재개
연락·불통 악순환 고리 끊어 내야

기본적인 대화조차 불가능한 데다 남북의 잇단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군사적 긴장이 커질 대로 커진 게 불과 얼마 전이다. 위태로운 교착 상황 속에서 최근 들어 적잖은 일련의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음은 고무적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9월 유엔총회 기조 연설에서 종전선언을 제의한 이후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재건과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언급한 데 이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29일 10월 초 통신선 복원 의사를 밝히는 데까지 이르렀다.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이후 우리 정부의 대응을 떠보려는 북한의 의도를 모르지 않지만, 통신선 복원은 군사적 위기를 완화하고 남북 대화의 모멘텀을 확보하려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던 게 사실이다.

물론 남북 관계, 북·미 관계의 진전으로 가는 길은 여전히 첩첩산중이다. 북한은 문 대통령의 종전선언에 대해 ‘이중적 태도, 적대시 관점·정책의 철회’를 선결 과제로 요구하고 있다. 미국 행정부의 ‘전제조건 없는 대화’ 제의에도 “적대 행위를 가리는 허울”이라고 표현하면서 ‘대북 적대시 정책 폐지’를 주장한다. 북한 특유의 냉온 전략은 한·미 양국의 반응을 확인하려는 목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남북이 먼저 관계를 개선하고 이후 미국의 우호적 대북 조치를 끌어내겠다는 기조인데, 우리 정부가 이에 잘 대처해야 할 것이다.

남북 연락선 복원이 꽉 막힌 대화와 소통을 트는 물꼬가 돼야 한다는 사실에 이견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더 이상 남북 간 소통의 끈이 끊어지는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환호와 불신, 연락과 불통이라는 악순환을 언제까지 되풀이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상시적인 소통 창구가 열려 있으면 향후 대화 재개와 비핵화 협상 문제를 차근차근 풀어 나가면 되는 것이다. 한국 정부의 견고한 원칙과 미국의 협력 못지않게 북한의 진지한 태도가 무엇보다 요구되는 이유다. 이번만큼은, 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반드시 찾아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