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육감 선거, 김석준·하윤수 ‘양자 구도’로 압축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석준

오는 6월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산교육감 출마를 준비해 왔던 박한일 전 한국해양대 총장이 8일 전격 불출마를 선언했다. 선거를 100여 일 앞두고 부산교육감 선거는 김석준 현 교육감과 하윤수 전 부산교대 총장의 2파전으로 좁혀지는 분위기다.

박 전 총장은 이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예비후보 등록을 앞두고 숙고를 거듭한 결과 여기서 출마를 접는 것이 제가 실현하려 했던 가치를 더 이상 훼손하지 않는 길이란 생각에 이르렀다”고 불출마 뜻을 밝혔다. 그는 “정당공천이 배제된 교육감 선거의 경우 후보들 간 합의로만 단일화가 가능한데 그 과정에서 갈등과 분열이 이어질 수밖에 없고, 부산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선거를 후보자 개인 중심으로 치러야 해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며 “현 교육감 선거제도가 교육자의 길을 걸어 온 저에겐 맞지 않음을 절감하게 되었다”고 불출마 이유를 설명했다.

박한일 전 해양대 총장 불출마 선언
진보-보수 2파전 양상으로 좁혀져
김, 현직 프리미엄 최대 활용할 듯
하, 북콘서트 통해 교육 정책 알려
차기 겨냥한 ‘이름 알리기’ 목적
추가 후보자 나올 가능성도 있어


박 전 총장은 지난해 부산지역 일부 중도·보수교육계가 주도한 단일화 과정에서 절차상 문제를 제기하며 독자 노선을 선택하는 등 그동안 출마 의지를 강하게 표명해 왔다.

박 전 총장은 이날 <부산일보>와의 통화에서 “새로운 부산교육을 반듯하게 세워 보겠다는 뜻이 있었는데, 준비 과정에서 직선제의 병폐가 너무 크다는 걸 느꼈다”며 “후보 캠프끼리 서로 이전투구하며 분열하는 건 교육자다운 모습이 아니라는 생각에 힘든 결단을 내렸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이로써 현재까지 부산교육감 선거는 김석준 현 교육감과 하윤수 전 총장의 ‘양자 구도’로 압축됐다.

김 교육감은 지난해 신년 기자회견 등을 통해 일찌감치 3선 도전을 공식화했다. 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부산이 착실하게 준비하고 있는 미래교육을 제대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그간의 경험이나 과정을 잘 알고 미리미리 준비를 한 사람이 마무리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출마 의사를 분명히했다.

김 교육감은 선거를 한 달쯤 앞두고 예비후보로 등록해 본격적인 선거 운동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교육의 수장으로서 자리를 비우는 공백기를 최대한 줄이면서 추진 중인 현안을 챙기고, 교육계 안팎 각계각층과 접점이 많은 현직 프리미엄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 전 총장은 지난해 12월 일부 중도·보수진영이 주도한 후보 단일화의 최종 후보로 선출된 이후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부산지역 교육 현안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며 출마 채비를 해 왔다. 오는 11일에는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저서 <교육강국 대한민국 교육 100년의 길> 출판기념 북콘서트를 열고 자신의 교육철학과 정책 등을 알릴 예정이다. 박 전 총장의 불출마 소식을 접한 하 전 총장은 “대의명분을 위해 통 큰 결단을 내린 데 감사드리며, 반듯한 교육을 세우기 위해 함께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 전 총장은 북콘서트에 이어 다음 주 초 예비후보 등록을 하고, 본격적으로 선거전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현재로선 2파전 양상이지만, 정당추천제가 아닌 교육감 선거의 특성상 언제든 추가 후보가 나와 다자구도가 펼쳐질 가능성도 있다. 3월 9일 대선 결과에 따라 현재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캠프에서 뛰고 있는 부산 교육계 인사들의 출마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더해 교육감 선거의 경우 투표용지에 정당·기호 없이 후보자 순서를 번갈아가면서 매기는 ‘교호순번제’가 적용돼 인지도가 부족한 인물도 득표가 유리한 구조여서, 4년 뒤를 목표로 이름을 알리기 위해 도전장을 던지는 후보가 나올 수도 있다.

교호순번제는 유권자들이 투표용지 제일 위 후보에게 투표해 기호 1번이 선출되는 ‘로또 교육감’을 방지하기 위해 2014년 도입됐다. 이후 후보별 득표수가 상대적으로 균등하게 나뉘는 경향을 보였다. 4년 전 선거에서는 47.79%를 득표한 김석준 현 교육감에 이어 김성진(27.11%), 함진홍(14.98%), 박효석(10.09%) 후보가 표를 나눠 가졌다. 교육감 선거 후보자는 유효투표수의 15% 이상을 득표하면 선거비용 전액(부산은 제한액 14억 7800만 원), 10~15% 미만은 절반을 돌려받을 수 있다.

지역 교육계 한 관계자는 “만약 김 교육감이 3선에 성공할 경우 4년 뒤에는 연임 제한으로 무주공산이 되기 때문에, 지명도를 높이려는 후보가 나올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대진 기자 djrh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