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서울과 닮아 가는 PK 표심 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쏠림 반성론’에 ‘양강 비호감’이 ‘민심 동조화’ 불렀다

제20대 대선의 부울경 민심이 서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번 대선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 15일 부산에서 진행된 한 후보의 유세 현장에서 시민들이 후보의 연설을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울산·경남(PK)과 서울 민심의 동조화. 19일 앞으로 다가온 20대 대통령선거의 주요 특징 중 하나다. 최근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부울경과 서울의 민심이 거의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선후보와 문재인 대통령, 정당 지지도 등 3대 지표는 두 지역이 근접했다. 역대 대선에서 볼 수 없던 모습이다.

“여야 균형이 지역 발전에 유리” 확산
이재명-윤석열 부정기류에 관심 하락
지방선거· 차기 총선에도 영향줄 듯

TBS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11~12일 실시한 여론조사(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서 1위를 기록한 윤석열(국민의힘) 후보는 서울과 PK에서 각각 46.2%와 50.0%의 지지율을 보였다. 이재명(민주당) 후보는 35.4%(서울)와 32.3%(PK)의 지지를 받았다.

같은 수도권인 인천·경기에선 이 후보(43.0%)가 오히려 윤 후보(41.4%)보다 높았고, 영남권인 대구·경북(TK)에선 이 후보가 20%대(25.4%)의 저조한 지지율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서울과 PK가 상당히 근접한 것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여론조사 4사가 14~16일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서울과 PK의 대선후보 당선 가능성이 거의 비슷했다. 윤 후보는 서울(55%)과 PK(54%)의 당선 가능성이 거의 같았고, 이 후보 역시 서울(25%)와 PK(29%)가 비슷했다. 윤·이 두 후보의 전국 평균 당선 가능성(윤석열 48%, 이재명 32%) 차이보다 서울·PK에선 더 벌어진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도 서울(36%)과 부울경(33%)이 비슷했고, 부정평가 역시 PK(57%)와 서울(56%)이 거의 같았다. 문 대통령의 전국평균 지지도가 40%대(41%)를 기록한 것에 비하면 서울과 PK가 유달리 낮은 셈이다.

‘정권 심판론’과 ‘국정 안정론’의 비율도 두 지역이 비슷하다. 국정안정론은 서울(35%)과 PK(34%) 모두 전국 평균(38%)보다 낮은 반면, 정권교체 요구는 PK(54%)와 서울(51%)이 평균(50%)을 상회했다.

여론조사 4사가 일주일 전(7~9일) 실시한 대선후보 지지도 조사에선 윤 후보의 서울(34%)과 PK(37%) 지지율이 비슷했고, 이 후보도 서울(31%)과 부울경(28%)에서 거의 같았다. 이번 대선을 앞두고 거의 모든 지표에서 서울과 PK가 닮아가는 것이다.

이 같은 동조화는 극히 이례적이다. 단적인 예로 2년 전 실시된 21대 총선에선 민주당이 총 49석의 서울 지역구 중 41석을 싹쓸이했고,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은 8석을 얻는 데 그쳤다. 반대로 부울경에선 40석 중 미래통합당이 32석을 얻었고, 민주당은 겨우 7석만 확보했다.

부울경의 민심 변화는 복합적인 요인이 동시에 작용한 것이다. 우선 특정 정당 쏠림에 대한 반성론이 거론된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문풍(문재인 바람)’의 영향으로 부울경 지방권력을 싹쓸이했지만 오거돈(전 부산시장)과 김경수(전 경남지사) 두 사람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중도하차했고, 일부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 ‘능력 부족’이란 비판에 휩싸였다. 이와 반대로 21대 총선에선 국민의힘이 PK 지역구를 독점했지만 중앙 정치권에서 전혀 존재감을 보이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따라 PK 전반에 “중앙권력이든 지방권력이든 여야가 균형을 이루는 게 지역발전에 더 도움이 된다”는 정서가 확산하고 있다. 윤석열·이재명 두 후보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기류도 한몫한다. 두 사람 모두 PK 출신이 아니어서 부울경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다. 게다가 호감도도 현저히 낮다. 한국갤럽 조사(8~10일)에서 이 후보의 PK 호감도는 27%에 불과했고, 윤 후보도 39%에 지나지 않았다. 이재명·윤석열 두 후보 부인의 온갖 구설도 부울경에서 특정 대선주자에게 쏠리지 않은 이유다.

이 같은 민심 변화는 100여 일 앞으로 다가온 부울경 지방선거와 2년 후 PK 총선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