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강치, 남획으로 멸종’ 과학적 입증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독도 바다사자(강치)가 남획으로 멸종됐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해양수산부는 27일 독도 강치(Zalophus japonicus)가 남획에 의해 멸종됐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이를 국제 학술지(SCI)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부산대 이상헌 교수팀 밝혀
적합 개체 수 모델링 방식 활용

해수부에 따르면 부산대학교 이상헌 교수팀은 해수부가 지원한 ‘환동해지역 해양포유류 서식실태 조사’ 연구를 통해 과거 독도 강치의 개체 수가 어느 정도였는지 추정하고, 멸종 원인이 남획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자연 사망률과 출생률, 포획사망률 등 매개변수와 모델방정식을 이용해 시간에 따른 개체 수 변동을 알아보는 ‘적합 개체 수 추정 모델링’ 방식을 분석에 활용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독도 강치의 개체 수는 일본이 독도에서 포획과 수렵을 시작한 1904년 이후 8년 만에 초기 개체 수 3만 마리의 30% 이하인 8500마리로 급감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후 포획과 수렵이 지속돼 1930년에는 790마리, 1940년에는 227마리로 감소했을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독도 강치는 1974년 일본 홋카이도에서 비공식적으로 존재가 확인된 것을 끝으로 더는 발견되지 않았고,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1994년 독도 강치의 멸종을 선언했다.

해수부는 이러한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SCI) ‘저널 오브 마린 사이언스 앤 엔지니어링’(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에 발표됐다고 전했다. 해수부는 2007년 독도 강치를 해양 보호 생물로 지정하고, 강치를 포함한 기각류 6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와 서식지 개선 사업을 시행해 왔다.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동해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대표 해양생물이었던 독도 강치가 인간의 무분별한 포획으로 멸종됐다는 것은 해양 보호 생물의 보호와 관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준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