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한·일 관계는… 과거사 문제 등 부상, 다시 ‘경색’될 수도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아베 신조 전 총리가 2020년 퇴임 사흘 후 야스쿠니 신사를 찾는 모습. 부산일보DB 아베 신조 전 총리가 2020년 퇴임 사흘 후 야스쿠니 신사를 찾는 모습. 부산일보DB

일본 우익의 상징인 아베 신조 전 총리의 피살이 한·일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린다. 최근 박진 외교부 장관의 방일설이 나도는 등 해빙기를 맞이한 양국 관계가 다시 경색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아베 전 총리 재임기 때 한국과 일본 관계는 역대 최악으로 꼽힌다. 아베 전 총리는 2차 집권기인 2013년 12월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고, 2015년 8월 일본의 침략 책임을 언급하지 않은 전후 70주년 담화를 발표해 주변국의 반발을 샀다. 또 2015년 위안부 합의 당시 피해자에게 편지를 보내는 것은 ‘털끝’ 만큼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해 한국을 자극했다. 2019년 8월에는 한국 대법원이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일본 기업의 배상 판결을 내리자 반도체 수출규제 조치를 강화하고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국가)에서 배제했다.

기시다 후미오 현 내각에서도 사실상 아베 전 총리는 ‘상왕’으로서 양국 관계를 주도했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천도 아베 전 총리의 입김이 작용한 사례로 알려졌다. 기시다 내각은 한국의 반발을 고려해 추천을 보류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아베 전 총리의 의사를 무시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포스트는 9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역시 아베 전 총리에 애도를 표했지만 20세기 초 군국주의 일본의 잔혹성을 겪은 한국과 중국의 반응은 좀 더 복합적이었다”고 보도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북한의 핵무장이라는 안보 위협에 대해서는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향후 한·일 관계를 두고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아베 전 총리의 사망에 따른 우익 세력의 결집으로 과거사 문제, 평화헌법 개정 등 한국에 민감한 이슈들이 다시 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기시다 내각이 아베 전 총리의 그늘을 벗어나 새로운 외교 정책을 펼 수도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