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논란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정권 바뀌자 다시 시동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울주군, 민간사업자와 실시협약 체결
신불산 억새평원까지 2.472km 구간
민자 644억 들여 2025년 준공 추진
4년 전 행복케이블카 사업 논란 끝 좌초
국민의힘 소속 군수로 바뀐 뒤 재추진
행정절차 산적·환경 논란에 진통 예상
울산환경연합 “새 노선 역시 환경 훼손”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출발지점인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 전경. 여러 난관을 넘어 사업이 추진되면 이곳에 케이블카 탑승 시설이 들어선다. 울산시 제공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출발지점인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 전경. 여러 난관을 넘어 사업이 추진되면 이곳에 케이블카 탑승 시설이 들어선다. 울산시 제공

20년 넘게 추진과 중단을 반복해 온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개발 사업이 지방 정권 교체를 계기로 재추진된다. 그러나 관련 절차가 산적한 데다 환경단체 반발도 여전해 또다시 갈등이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울산 울주군에 따르면, 군은 최근 영남알프스케이블카(주)와 케이블카 개발 사업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영남알프스케이블카(주)는 지난해 3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세진중공업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전액 민자로 시행되는 케이블카 개발 사업에는 총 644억 원이 투입된다. 영남알프스케이블카 측이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 따라 기부채납한 후 20년 동안 무상으로 사용한다. 실시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 행정 절차를 거쳐 내년 하반기에 착공해 2025년 하반기 중 준공할 예정이다.

노선은 복합웰컴센터에서 신불산 억새평원까지 2.472km 구간으로 설정했다. 삭도 유형은 ‘1선 자동순환식’이며, 시간당 최대 1500명이 탈 수 있는 10인승 캐빈 50여 대를 운영한다. 영남알프스케이블카 측은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자 낙동정맥을 벗어난 신불재 남서측 해발 약 850m에 친환경 공법으로 케이블카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올해 6·1 지방선거 이후 국민의힘 소속 이순걸 군수가 취임하면서 재시동이 걸린 것이다. 이 군수는 “영남알프스케이블카 측의 타당성 조사 결과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740억 원, 부가가치 유발 267억 원, 고용유발 613명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다”고 주장했다.

울산광역시 소상공인연합회도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케이블카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실의에 빠진 지역 주민에게 희망이 될 것”이라며 “현재 활기를 잃고 방치된 등억온천단지와 연계한다면 체류형 관광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환영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한두 개가 아니다. 무엇보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의 환경영향평가 통과가 최대 관건으로 꼽힌다.

앞서 2018년에도 울산시와 울주군이 공영 개발로 복합웰컴센터~간월재 구간 1.85km에 추진한 ‘영남알프스 행복 케이블카’ 사업에 대해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생태계 훼손 등을 이유로 ‘부동의’ 결정을 내린 적이 있다.

지역 환경단체도 환경 훼손을 이유로 케이블카 설치 반대 운동을 본격화할 태세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이 군수가 밝힌 새로운 노선은 그동안 제시됐던 노선 중 가장 길다. 군은 노선을 결정할 때마다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노선’이라고 했다”면서 “단언컨대 산악 케이블카를 건립하면서 환경과 개발이 공존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또 “케이블카 사업은 흑자경영을 할 만큼 이용자가 많으면 자연 파괴가 불 보듯 뻔하고, 이용객이 적어서 적자에 허덕이면 관리 소홀로 환경오염을 막을 수 없다”며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는 것이야말로 장기적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향후 시민·종교단체와 연대해 케이블카 건립을 끝까지 막아 내겠다고 벼르고 있다.

애초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사업은 1999년부터 추진해 왔으나 환경 훼손 논란, 정권 성향 등에 따라 가다 서다를 반복해 왔다. 민선 7기 더불어민주당 송철호 울산시장의 경우 2018년 낙동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부동의’ 결정을 받자 개발보다는 보존에 중점을 두고 “케이블카 건립을 원점에서 다시 고민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사업 중단’을 선언하기도 했다.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