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간 방치… ‘애물단지’ 전락 ‘기장 담수화시설’ 새 용도 찾나

김성현 기자 kks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환경부, 활용 방안 연구용역 실시
‘국비 묻지 마 유치’의 실패 사례 꼽혀
부산시 “실증화 센터 등 다각도 검토”

부산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해수담수화시설’ 전경. 부산일보DB 부산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해수담수화시설’ 전경. 부산일보DB

사업비 1255억 원이 투입됐지만 8년 동안 방치된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시설에 대해 정부가 새로운 활용방안 찾기에 나섰다. 국비만 423억 원이 투입된 이 사업은 무분별한 유치로 운영에 실패한 대표적 국비 사업으로 꼽힌다.

20일 조달청에 따르면 환경부는 ‘기장 해수담수화시설 활용방안 연구 긴급 입찰’을 19~21일 진행한다. 사업비는 2억 4000만 원으로 용역기간은 12개월이다. 환경부는 입찰 공고에서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을 현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인근 산업시설의 공업용수 공급 담수화 기술개발과 새로운 활용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추진 배경을 밝혔다. 부산시는 용역 결과에 따라 해수담수화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부산시가 요청해서 지어진 시설인 만큼 용역 결과가 나오면 시가 그중에서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은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봉대산 자락에 4만 5845㎡ 규모로 2009년 착공해 2014년 8월에 완공됐다. 부산시가 2008년 사업 유치 공모 당시 전남 여수시, 광양시 등과 경합을 벌여 최종 사업지로 선정됐다. 사업비는 국비 386억 원, 시비 425억 원, 민자 444억 원 등 모두 1255억 원이 투입됐다.

당초 부산시는 물 산업 연구 메카도시로 성장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하루 최대 4만 5000t의 물을 생산해 기장군 지역 5만여 가구에 공급하기 위해 약 95억 원을 들여 11.52km에 달하는 수도관까지 설치했다.

하지만 완공되자마자 취수구가 고리원전에서 11km 떨어져 있어 방사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는 환경단체와 주민들의 반발로 당초 2014년 12월 예정된 해수담수화 수돗물 생산은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부산시는 주민들의 공감 없이는 해수담수화 수돗물을 식생활용수로 공급하지 않겠다는 정책적 결정에 따라 산업용수 공급으로 방향을 틀었다. 하지만 낮은 수요와 경제성 등의 이유로 아직 산업용수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부산시는 지난해부터 첨단산업 유치 등을 통한 산업용수 수요처를 확보하기 전까지 일부 시설을 해수담수화를 이용한 지역 특화 분산형 실증화 센터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분산형 실증화 센터는 해수와 관련한 기술을 연구하고 실용화 전 단계까지 최적화하는 최첨단 시설을 말한다. 시는 이번 용역에서 분산형 실증화 센터를 포함해 모든 활용 방안에 대해서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완공 이후 8년 동안 활용 방안조차 정하지 못한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은 지자체의 ‘국비 사업 묻지 마 유치’의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꼽힌다.

민은주 부산환경연합 사무처장은 “해수담수화시설은 애초 장소가 원전 인근으로 잘못 정해진 사업”이라면서 “주민들의 우려가 최대한 없게 미래지향적인 방식으로 용역에서 여러 가지를 논의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통해서 해수담수시설의 전반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해 최선의 결과를 낼 예정이다”고 밝혔다.


김성현 기자 kks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