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유동규·김용 친분 타고 대장동 이익 이재명 캠프 유입” 판단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대장동 수사' 급물살

이재명 캠프엔 ‘체포’ 김용 부원장
대장동팀엔 유동규 전 기획본부장
2008년 시작된 두 사람 인연 따라
개발사업 성공·경제적 이익 공유
8억+α 수수 땐 수사 확대 가능성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내 민주연구원 압수수색에 나선 검찰 관계자가 당사를 철수하면서 입장 표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내 민주연구원 압수수색에 나선 검찰 관계자가 당사를 철수하면서 입장 표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불법 대선 자금 수수 혐의로 검찰에 체포되면서 이른바 대장동팀과 이재명 캠프 간의 ‘검은 거래’가 드러날지 이목이 집중된다. 검찰은 대장동 개발 사업을 성공시켜 막대한 이익을 챙겨야 했던 대장동팀과 이 대표 선거 자금이 필요했던 김 씨 측 요구가 맞물려 수년간 유착관계가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20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이재명 캠프에서는 김용 부원장이, 대장동팀에서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연결고리가 돼 불법 자금이 유통됐을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마치 ‘의형제’처럼 지냈다는 김 부원장과 유 전 본부장의 인연은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 부원장은 분당지역 리모델링 추진 연합회장으로 활동하며 유 전 본부장과 인연을 맺었다. 유 전 본부장은 당시 분당지역 한 아파트 단지의 리모델링추진위원회 조합장이었다.

성남에서 변호사로 시민운동을 하던 이 대표를 알게 된 것도 그즈음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가 2010년 성남시장에 당선됐을 때 김 부원장은 성남시의회에 입성했고, 유 전 본부장은 2014년 성남시설관리공단 기획본부장이 됐다. 검찰은 위례 신도시·대장동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이들이 사업 성공과 경제적 이익 공유를 위해 각자의 지위를 적극 활용한 것으로 의심한다.

김 부원장은 2010∼2018년 성남시의원을 지내는 동안 대장동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의회의 도움이 필요할 때 중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에 따르면 대장동의 민간 개발에 공을 들였던 대장동팀이 기득권을 잃지 않으려고 고육지책인 민관 합동 개발로 방향을 틀었고, 이를 위해선 성남도개공 설립이 최우선 과제였다.

이에 김 부원장은 성남도개공 설립 조례안이 시의회 새누리당 의원들의 반대에 막혔을 때 안건 통과를 위해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고, 안건을 통과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 대표의 또 다른 최측근인 정진상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은 당시 성남시 비서실의 실세로, 사업 관련 각종 인허가 통과에 힘을 쓴 것으로 검찰은 의심한다. 검찰이 지난해 성남시에서 확보한 대장동 관련 여러 문건에는 정 실장이 협조자로 서명했다. 실제 당시 성남시장이던 이 대표에게 올라가는 중요 문서는 모두 정 실장을 거쳐 보고됐다고 한다.

여기에 유 전 본부장은 성남도개공 실세로 민간업자들에게 유리하게 사업 구조를 설계해주고, 그 대가로 민간업자들은 유 전 본부장 등의 자금 지원 요구에 응했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올해 5월 대장동 관련 재판에서는 대장동 의혹 관련자들이 모여 의형제를 맺고, 김 부원장이 대장동 사업 추진과 관련한 이야기를 정 실장에게 하자 정 실장이 ‘2015년 전반기에 다 정리해서 끝내겠다’고 했다는 관련자(남욱 변호사, 정영학 회계사)의 통화 녹음도 재생됐다.

김 부원장의 신병을 확보한 검찰 입장에서는 이들이 이익과 돈을 주고 받았다는 실체를 증거로 입증해야 하는 게 최우선 과제가 됐다. 검찰은 불법 자금 8억 원이 남욱 변호사와 정민용 변호사, 유 전 본부장을 거쳐 김 부원장에게 흘러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김 부원장이 지난해 2월 유 전 본부장에게 “대선 자금 20억 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가, 대장동 개발사업 의혹 보도가 나오자 8억 원까지만 받았다는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8억 원 이외에도 불법 자금이 이재명 캠프로 추가로 흘러 들어갔다고 판단한다면, 수사 규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20일 구속기간 만료로 석방된 유 전 본부장에 대해 신변 보호 조치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유 전 본부장은 현재 비리 의혹의 ‘키맨’으로 정치·사회적 파장이 그의 심리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유 전 본부장은 올해 4월 구치소에서 수면제를 다량 복용했다가 응급실로 후송되기도 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