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료원, 코로나 전담병원 3년 새 의료 적자 9배 증가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19년 36억대서 ‘적자 눈덩이’
10월 기준 ‘의료 적자’ 322억대
일반 입원환자 큰 폭 감소 등
정상화까지 회복 기간 보장해야

부산 연제구 부산의료원의 모습. 부산일보DB 부산 연제구 부산의료원의 모습. 부산일보DB

부산의료원이 코로나19 전담병원 역할을 수행하면서 병원 수익이 이전의 30%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 지원금 등을 제외하면 올해는 이미 300억 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해, 경영이 정상화될 때까지 회복 기간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 정의당 강은미 의원이 공개한 국내 공공병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부산의료원의 전체 수익은 2019년 66억 3500만 원에서 올해 10월 기준 18억 5200만 원으로 대폭 하락했다. 특히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적자가 시작된 만큼, 올해 최종 수익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수익 항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진다. 부산의료원은 기본적으로 공공의료를 담당하기 때문에, 일반 외래 진료·입원 환자 치료 등으로 발생하는 ‘의료손익’이 적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대신 공공의료를 수행하면서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금 등을 받아 일부 손실을 메우는 구조다.

2019년의 경우 부산의료원 의료손익은 36억 9900만 원 적자였으나, 올해는 10월 기준 적자 규모가 322억 9100만 원으로 9배 가까이 커졌다. 이 기간 의료손익이 280억 넘게 줄어들었는데, 이는 전국 35개 공공병원 중 가장 큰 규모다. 다만 정부 지원 등으로 이뤄진 의료 외 손익이 2019년 103억 3400만 원에서 올 10월 기준 341억 4300만 원으로 늘어나 의료손익 적자를 메웠다.

이는 코로나19 전담병원이 된 이후 그나마 있던 부산의료원 일반 환자들이 대거 이탈했고, 대신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금으로 이로 인한 손실을 메웠다는 걸 의미한다. 문제는 아직 이탈한 일반 환자들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는데, 올 하반기부터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이 대폭 줄었다는 거다.

특히 의료손익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일반 입원 환자가 큰 폭으로 줄었다. 2019년 부산의료원 병상 가동률은 81.7%로, 당시 35개 공공병원 평균 76.4%를 넘어섰다. 하지만 올 10월 기준 병상 가동률은 26%로, 코로나19 전의 3분의 1수준이다. 35개 공동병원 평균 38.7%에도 못 미친다. 입원 환자가 단기간에 급증하거나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도 올 상반기 수준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사실상 없기 때문에, 2023년 부산의료원은 의료손익뿐만 아니라 전체 경영 수익도 상당한 규모의 적자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정부는 코로나19 대응 의료기관에 대한 회복기 손실보상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금액이 실제 피해액과 차이가 크고, 기간도 최대 1년으로 한정되는 등 공공병원의 경영 상황을 개선하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강은미 의원은 “부족한 회복기 손실보상 기간을 그대로 두는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에 가장 앞장서 온 공공병원들을 토사구팽하는 꼴”이라며 “공공의료 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만큼, 회복기 손실보상 기간은 ‘실제 진료량의 회복’ 때까지 확대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부산시는 2023년 예산안에서 부산의료원 출연금을 기존의 50억 원에서 대폭 삭감된 24억 8000만 원으로 편성(부산일보 11월 17일 자 10면 등 보도)했다. 부산의료원 노조와 시민사회 등은 현재 공공병원 상황을 외면한 결정이라며 출연금 복구를 요구하고 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