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발주·턴키 설계·공단 설립… 신속한 공사 이끈다[가덕신공항 조기 개항]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엑스포 전 완공 어떻게

2029년 12월까지 조건 수용
시공할 컨소시엄 선정 방침
부지 조성 단일공구 통합 발주
종합사업관리제로 공기 단축
1년간 턴키설계·내년 말 착공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도 출범

박지홍 국토교통부 가덕도신공항 건립추진단장이 1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열린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지홍 국토교통부 가덕도신공항 건립추진단장이 1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열린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가덕신공항을 매립식으로, 또 가덕도 육상과 해상에 걸쳐 건설해 2030부산엑스포 전에 개항하겠다는 분명한 목표를 제시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엑스포 전 개항이다. 이는 엑스포 유치 성사를 가를 만큼 중요한 문제다. 정부는 개항 시기를 2029년 12월에 맞춘다는 조건을 수용하는 컨소시엄에 공사를 맡길 예정이다.

4월 2일부터 6일간 한국을 방문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은 4월 4일부터 나흘간 부산에 머물며 2030부산엑스포 준비 상황을 꼼꼼하게 점검할 예정이다. 여기서 핵심은 교통수단이다. 엑스포는 올림픽이나 월드컵처럼 단기간에 마무리되는 것이 아니라 6개월간 열린다.

2025년 열릴 일본 오사카·간사이 엑스포도 목표 해외 관람객을 350만 명으로 잡았다. 이 때문에 엑스포가 열리는 곳에는 관람객을 태워 나를 대형 공항이 필수적이다.



■하네다공항처럼 부지 조성 통합 발주

현재 진행 중인 기본용역에서 가덕도 바다의 최대 수심은 30m, 연약 지반의 최대 심도는 40m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적기 개항을 위해 특단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보통은 활주로를 만들어 놓고 터미널을 세운다. 그런데 가덕신공항에서는 터미널·계류장 공사를 육상부에서 매립하면서 바로 착수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바다 쪽에서는 활주로 부지 조성 공사를 한다. 육상과 해상에 걸쳐 공항을 만들기로 한 것도 절취·매립을 최소화하고 건축공사를 빨리 추진하기 위해 정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발표된 사전타당성 조사에서는 매립량이 2억 1600만㎡로 나왔는데 육·해상으로 건설하면 9500만㎡로 절반 넘게 준다.

또 하나 제시된 내용은 단일공구 통합발주(턴키사업) 방식이다. 가덕신공항 부지 조성에는 국수봉을 절취하는 공정과 방파제·호안 축조, 연약 지반 개량, 해양 매립 등의 공정이 중첩된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1공구, 2공구 등으로 공구를 나누는 턴키사업과는 다르다. 이에 공구 간 공정 간섭과 지연이 없도록 부지 조성 공사를 통합해 발주한다. 또 어떻게 공사를 발주할지를 정할 때 2029년 12월 개항 시기를 적시하고 이를 맞출 수 있는 곳을 선정한다.

해외에선 선례가 있다. 일본 하네다공항(D활주로)을 만들 때 개항을 2020년 8월로 적시해 1개 사업으로 발주했는데 15개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건설에 참여했다. D활주로 수심이 12~20m, 연약 지반이 19m에 이르고 매립량도 엄청났지만 3년 반 만에 완공했다.

■공사 전체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

여기에 더해 종합사업관리제도(PgM)를 도입해 사업관리시스템(PMIS)을 구축해 공기 지연을 막고 오히려 단축할 방침이다. 즉 A공사가 지연되면 B공사 속도를 낮춰 A, B공정이 같은 시기에 완성돼 연결되도록 하는 등 공사 전체를 내려다보는 제도를 도입한다는 것. 여기에도 전문화된 업체가 참여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조만간 건설협회 등을 통해 건설업계에 이를 사전 설명한 뒤 민간의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신기술·신공법이 제안될 수 있도록 요구할 예정이다. 이후 하반기에는 대형공사 입찰 방법을 조달청과 심의해 발주하고, 이와 별도로 기본계획을 각 부처와 협의해 고시하게 된다.

이후 컨소시엄이 정해지면 내년 초 바로 설계에 들어간다. 약 1년간 턴키설계를 거쳐 내년 말 착공한다는 것이다. 턴키라는 말이 설계와 시공을 한 곳에서 같이 한다는 의미다.

이와 별도로 가덕도신공항 건설공단법이 1월 31일 발의됐다. 이 법이 제정되면 연구용역을 통해 조직 구성, 재원 조달 방안, 종합사업 관리 방안을 마련한 뒤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을 출범시킬 예정이다.

박지홍 국토부 가덕도신공항 건립추진단장은 “조기 개항을 위해서는 이 같은 조건뿐만 아니라 기재부, 국방부, 환경부, 부산시 등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6개월 남은 기본계획 수립 기간에 신공항의 안전과 품질을 확보하고, 지역개발과 조화된 사업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