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초고령동 천지 부산, ‘액티브 에이징’ 새판 짜라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5개 행정동 가운데 47개 차지
영도구·동구 각 7개로 최다 기록
원도심은 45개 중 24개가 해당돼
50세 이상 인구 비율 이미 47.4%
고령화 속도 맞춘 전략 마련해야

부산 중구 중앙공원에서 노인들이 삼삼오오 모여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 중구 중앙공원에서 노인들이 삼삼오오 모여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의 행정동 중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30%를 넘는 곳, 이른바 ‘초초고령동’이 전체 4분의 1 수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고령화율이 20% 이상일 때 ‘초고령’이란 용어를 쓰는 점을 고려할 때 30%가 넘는 ‘초초고령’ 동이 점차 늘어난 셈이다. 특정 동을 중심으로 고령화 속도가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는 만큼 부산은 '액티브 에이징(활동적 나이 들기)'을 통해 ‘고령친화동네’로 새로운 전략을 짜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부산시 주민등록인구통계 등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부산의 205개 읍면동 중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30%를 넘은 동은 47곳(약 23%)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율은 전체 인구 대비 만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뜻한다.

고령화율이 40%를 넘어서는 곳도 3곳에 달했다. 강서구 가락동이 43.1%로 가장 높았으며, 동구 수정4동(40.7%), 강서구 강동동(40.3%) 순이었다. 초초고령동이 가장 많은 구는 각각 7곳인 영도구와 동구였다. 이어 금정구(6곳), 중구(5곳), 서구(5곳), 강서구(4곳), 해운대구(4곳) 순이었다.

이처럼 고령화율이 높은 동의 경우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부산의 산업화 1·2세대가 산업현장에서 은퇴해 거주하던 지역인 원도심에 집중돼 있다. 중·동·서·영도구의 45개동 중 절반을 넘는 24개동이 고령화율 30%를 넘어섰다. 이 밖에도 원도심 배후 단독주택 지역이거나 정책이주 지역, 공업단지, 도시에 편입된 농촌지역, 공공임대아파트 지역 등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 지역 중 과반수는 사회·경제적 쇠퇴와 주민의 역외 이주, 공동화, 공·폐가 증가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문제는 부산의 고령화 속도가 더욱 빨라진다는 것이다. 지난 5월 부산의 50세 이상 인구 비율은 47.4%를 기록했다. 내국인 기준 50~64세인 장년이 84만 3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5.5%, 65세 이상 노인이 72만 7000명으로 21.96%였다. 10년 후면 현재 노년 인구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장년 세대가 노인 세대에 진입하거나 진입을 목전에 둔 시기를 맞게 된다.

그동안 시도 차원이나 구·군 차원의 고령화율 통계는 주목을 받아왔으나, 읍면동 단위의 통계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점차 빨라지는 고령화 속도를 고려하면 읍면동의 통계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고 지적한다. 동 단위의 면밀한 분석이 있어야 부산이 선제적으로 고령화 문제에 대응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시는 2016년 국내 4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의 ‘고령친화도시’에 가입했으나 그동안 고령 친화 정책의 체감도는 낮은 편이었다. 게다가 현재 정부와 시 주도의 노인 정책은 노인의 연령적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지 않은 하향식 정책이 대부분이었다.

전문가들은 노인 정책에서 동네 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노인의 직접 참여가 핵심인 만큼 ‘고령친화동네’가 될 수 있도록 더욱 미시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신라대 초의수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시가 추진하는 고령친화도시에는 킬러콘텐츠가 부족할 뿐 아니라, 주민 참여와 공동체 주도의 상향식 전략이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