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영감] 간지러운 곳을 긁으며 질문하다 “이것은 진짜인가?”

오금아 기자 chri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예술 영감] 임봉호 미술 작가

세월호 참사·수서발 KTX 사건 등
글자 지우며 숨겨진 의미 조명
김광석 노래에서 착안한 작품도
기존 제도·관념에 예술로 저항

임봉호 작가가 부산 중구 중앙동에 위치한 작업실에서 ‘네 사전에는 없다’ 시리즈를 보여주고 있다. 오금아 기자 임봉호 작가가 부산 중구 중앙동에 위치한 작업실에서 ‘네 사전에는 없다’ 시리즈를 보여주고 있다. 오금아 기자

간지러운 데를 긁는 예술가.

임봉호는 영상이나 설치 등 매체를 통해 시각예술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동아대 학부 과정에서 한국화, 대학원에서 판화를 전공했다. “본격적인 작업은 2014년부터 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아직 10년이 안된 작가라고 생각하고 있죠.”

임 작가의 2014년 첫 개인전 제목은 ‘기록의 진실성’이다. 학과 조교로 근무하며 작품을 만들었다. “작업할 시간이 부족해서 책상 위에서 할 수 있는 것을 찾았죠.” ‘이윤’ ‘부자’ ‘약자’ 같은 단어를 종이에 출력해 분필이나 흰색 파스텔로 지우고 그 과정을 영상에 담았다. “영상에 숨소리가 안 들어가게 휴지로 코를 막고 작업했어요.”

임봉호 '네 사전에는 없다' 시리즈 중 글자 지우기 작업. 오금아 기자 임봉호 '네 사전에는 없다' 시리즈 중 글자 지우기 작업. 오금아 기자

‘이윤이 이유가 되는 지금, 약자는 익사했다. 부자는 무사하다.’ 글자 일부를 지우니 이면의 것이 드러났다. 또 임 작가는 글자 위에 선을 덧대 단어를 바꾸고(공모→공포), 두 단어가 쓰인 종이를 찢어 다른 단어를 만들었다(재물→괴물). ‘네 사전에는 없다(봉호단어장 포함)’ 시리즈이다. 각 작업 안에는 세월호 참사, 수서발 KTX 문제 등 각각의 서사가 있다. 작가에게 글자를 고치는 행위는 ‘주어진 활자에 행동하지 않는 말이 얼마나 가벼운 것인가’를 보여주는 일이었다.

‘5, 1, 6’과 같이 현대사 주요 사건의 날짜를 읽어내도록 장치한 화투 시리즈, 포커 게이머가 노력, 노오력, 노오오력 순서대로 카드를 모아 스트레이트를 노리는 ‘유효분량’ 등 임 작가는 작업 안에 다른 의미를 숨겨두고, 언어·기호·시스템 등 사회적 약속에 의문을 제기하는 작업을 해 왔다. “왜 의심하지 않는가, 이것이 진짜인가를 묻고 싶은 거죠.”

부산시립미술관의 ‘젊은 시각 새로운 시선 2018’에 전시된 임봉호 ‘미사여구’. 부산시립미술관 제공 부산시립미술관의 ‘젊은 시각 새로운 시선 2018’에 전시된 임봉호 ‘미사여구’. 부산시립미술관 제공

텍스트 작업이 기록된 정보가 가진 다른 의미에 주목했다면, 2016년에 만든 ‘콘크리트맛 솜사탕’은 기억의 오류를 표현한 작품이다. 싱글채널비디오로 제작한 작품에서 임 작가는 오래된 친구와 재개발로 사라진 옛 동네를 찾아간다. “물리적 덩어리가 없어진 상태에서 기억이 얼마만큼 갈 것인가, 우리가 가진 기억이 얼마나 온전한가를 표현하려 했어요.”

임 작가는 2020년 부산의 대안공간 오픈스페이스 배에서 열린 개인전 ‘가나다라마바사’를 언급했다. 이 전시에서 그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겪는 고통이 낯선 것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담긴 영상 ‘낯선 오늘’, 재난지원금 수령을 위해 받은 본인 확인 인증 문자 속 숫자들의 그래프 등을 전시했다.

“가장 연구를 많이 했던 작품이 ‘두 바퀴로 가는 자동차’예요.” 김광석의 노래에서 착안해 만든 ‘타지 않는 불’과 ‘젖지 않는 물’. 작가는 “우리가 인식하고 정의하는 것이 시대에 따라 얼마나 달라지는지, 지금 진리라 믿는 것이 완전한 진리인지를 묻고 싶었다”고 했다.

오는 12월 부산 개인전 준비 중

“살아온 과정이 켜켜이 쌓여서

내 안에서 나오는 것이 영감”

임봉호 '두 바퀴로 가는 자동차'. 작가 제공 임봉호 '두 바퀴로 가는 자동차'. 작가 제공
임봉호 '로봇이 아닙니다'. 작가 제공 임봉호 '로봇이 아닙니다'. 작가 제공

임 작가는 오는 12월 다대포에 있는 스페이스 위버멘쉬에서 개인전을 열 계획이다. 그는 유튜브 쇼츠가 범람하는 시대에 ‘어떻게 사람들이 넘기지 않고 계속 보는 영상을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사람들에게서 어떻게 리모컨을 뺏을 것인가를 궁리 중이죠.”

지역의 한 기획자는 임 작가의 작업에 대해 ‘상이한 개념들을 저울에 올려놓듯이 대조해 나가며 기존 제도와 관념에 저항하고 예술로써 질문을 던진다”고 표현했다.

임 작가는 간지러운 데를 긁고 있다고 했다. “긁다가 안 간지러우면 내가 간지럽다고 느끼는 다른 데를 긁는 거죠. 예민하고 날이 서 있을 때는 오만 데가 간지러웠는데, 지금은 그때만큼 간지럽지 않은 것 같아서 프로세스를 바꿔 보려고 시도하고 있어요.”

작업의 영감을 어디에서 받느냐는 질문에 임 작가는 대답했다. “영감이라는 것이 드라마틱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살아온 과정이 켜켜이 쌓여서 내 안에서 나오는 것 같아요.”


오금아 기자 chr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