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소득세 한 푼 안 낸 백만장자 트럼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스털링에 있는 트럼프 내셔널 골프 클럽에서 골프를 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 국면은 물론, 대선 TV 생중계 토론회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골프를 치는 모습이 공개되자, 민주당 인사와 언론으로부터 비난을 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대선을 30여 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된 2016년과 그 이듬해 낸 소득세가 1500달러(약 176만 원)에 불과하며, 최근 15년 중 10년은 소득세를 한 푼도 안 냈다는 폭로가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뉴스’라고 반박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27일(현지시간) 20여 년 동안의 트럼프 대통령 소득신고 자료를 확보했다면서 그가 2016년과 2017년 연방소득세를 각각 750달러(약 88만 원) 냈다고 보도했다. 또 최근 15년 사이 10년은 수입보다 손실이 크다고 신고해 연방소득세를 내지 않았다고도 전했다.


NYT, 소득신고 자료 확보 폭로
15년간 2년분 소득세 176만 원
소유 기업 적자 신고 과세 피해
인도·필리핀에 수억 납부 대조적
트럼프, 보도 일축 “가짜뉴스”

NYT는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첫 2년간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 있는 골프클럽 등 해외 사업체에서 7300만 달러(약 857억 원)를 받았다고도 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인도와 필리핀에 각각 14만 5400달러(약 1억 7000만 원)와 15만 6824달러(약 1억 8400만 원)를 세금으로 납부했으며, 이는 미국에서 겨우 750달러를 납부한 것과 대비를 이뤘다고 꼬집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소유·운영하는 기업들이 적자를 신고해 그가 셀러브리티로서 벌어들인 수백만 달러에 대한 과세를 피했다”고 주장했다. 신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진행자였던 리얼리티쇼 ‘어프렌티스’와 각종 라이센싱·홍보계약으로 2018년까지 4억 2740만 달러(약 5022억 원)를 벌었다. 또 두 채의 건물에 투자해 1억 7650만 달러(약 2074억 원)의 수익을 냈다.

이러한 수익과 미국에서 재산 상위 1%에 적용되는 세율만 고려해도 트럼프 대통령은 최소 1억 달러(약 1175억 원)의 소득세를 내야 했다는 것이 NYT 분석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1990년대 초반 사업 실패로 약 10억 달러(약 1조 1750억 원)의 손실을 봤고 그는 이를 2005년까지 세금을 공제받는 데 사용했다.

NYT는 “2005년부터 2007년 사이 트럼프 대통령은 라이센스·홍보 계약으로 1억 2000만 달러(약 1409억 원) 순이익을 거뒀고, 이에 부과되는 세금을 상쇄할 이전 시기 손실이 없어서 생애 처음 총 7010만 달러(약 823억 원)의 연방소득세를 냈다”고 설명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냈던 연방소득세에 273만 달러(약 32억 원)가량의 이자까지 쳐서 돌려 달라고 2010년 1월 국세청(IRS)에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환급을 요구한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NYT는 2008년과 2009년 트럼프 대통령 소유 기업에서 총 14억 달러(약 1조 6436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신고한 것이 근거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과 전용기, 머리 손질 등에 사용한 개인비용을 사업비용으로 처리해 세금을 줄였다고도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NYT 보도가 “가짜뉴스”라고 했다. 그는 구체적 설명 없이 “세금을 냈다. 관련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가족기업인 ‘트럼프 그룹’ 측도 NYT에 보도와 관련 “전부는 아닐지라도 대부분의 사실이 부정확해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여 년간 연방정부에 개인세금 수천만 달러를 납부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NYT는 트럼프 그룹 측이 ‘개인세금’이라는 용어를 쓴 점에 주목하며 “개인세금에는 소득세와 함께 사회보장연금·건강보험금 등이 포함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후보의 대통령선거 첫 대선 TV토론이 29일 밤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열린다. 10월에 두 차례 더 진행되는 TV 생중계 토론회는 미국에서만 7000만∼8000만 명이 시청하게 되는 이른바 ‘지상 최대 정치쇼’로 불린다.

거의 모든 정책에서 대척점에 선 두 후보가 공식 지명 이후 만난 적이 없는 터라 첫 만남 장면부터 큰 관심을 끌 전망이며, 장면 하나하나가 부동층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 한 방’이 될 수도 있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일부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